[붓과 먹 쓰는 법 4] 파묵(破墨), 발묵(潑墨) 2014.05.09
파묵(破墨)선으로 어느 단계까지 그린 다음 마르기 전에 더 짙거나 묽은 먹으로 덧칠해 윤곽선을 없앰으로써 보다 고도의 입체감과 깊이감을 나타내는 기법을 '파묵'이라고 말합니다.애초에는 ‘처음에 칠한 먹색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만들어진 용어인데, 이후 점차 담묵을 사용해 농묵에 변화를 주거나 농묵으로 담묵...
[붓과 먹 쓰는 법 3] 홍운탁월 2014.04.29
홍운탁월(烘雲托月)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동양화의 기법 중 수묵에서 흑과 백 두 세계만 존재하는 특성을 십분 활용한 표현법입니다.그을리다 라는 뜻의 홍(烘), 밀어낸다는 뜻의 탁(托), 즉 달 주변의 구름을 어둡게 표현함으로써 달이 드러나도록 한다는 뜻입니다.이경윤 <고사관월도> 비단에 수...
[붓과 먹 쓰는 법 2] 선염(渲染) 2014.04.22
선염(渲染)은수묵 표현의 한 방법으로 담묵이나 옅은 색채를 점차 엷게 칠하거나 점차 짙게 칠하는 등 점층적으로 사용하는 표현법을 가리킵니다. 영어의 그라데이션(gradation)과 의미가 같습니다. 선염에서 먹의 농도에 따른 짙고 옅어지는 효과를 통해 원근과 입체감을 나타낼 수 있게 됩니다. 우리말로 '...
[붓과 먹 쓰는 법 1] 초묵, 농묵, 담묵 2014.04.16
용필법과 용묵법당나라 이후 수묵은 채색에 이어 동양화의 주요 재료로 등장합니다. 하지만 먹 한 가지로 평면상에 입체감을 나타내는 데에는 처음부터 많은 제약이 있었죠. 이 같은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오랜 세월동안 수묵화 기법이 개발되고 발전됩니다.수묵화 기법은 먹을 이용해서 다양한 표현을 하는 용묵법, 붓...
[서화 기초 9] 니금(泥金) 산수 2014.04.04
금분을 아교풀에 갠 것을 금니(金泥)라고 합니다. '금'은 금 금(金)자이고 '니'는 진흙 니(泥)자 입니다. 금니를안료처럼 사용하여 그린 산수화를"니금(泥金)산수화"라고 합니다.금분을 아교에 섞어 안료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켜 중국에서는 니금, 일본에서는 금니라는 말을 주로 씁니다.아교에 갠 금분물은 그...
[서화 기초 8] 수묵화와 수묵담채화 2014.02.28
수묵화는 먹으로 그린 그림을 말합니다. 지금 우리는 동양화에서 먹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당연한 것처럼 여기지만 그 시초는 당나라 말기로 잡습니다. 당시만 해도 글씨를 쓰는 재료에 불과했던 먹이 산수화를 그리는 기법에 쓰이는 주인공으로 새로이 등장을 한 것입니다.중국에서도 그림을 그리는 데 있어서 다양한...
[서화 기초 7] 채색화, 청록산수와 금벽산수 2014.02.11
먹으로만 그리지 않고 채색 안료를 사용한 그림을 채색화라고 합니다. 채색화로 그린 산수화 가운데 광물질 안료인 '석록(石綠. 공작석malachite)'과 '석청(石靑, 남동광Azurite)'을 주로 사용해 그린 그림을 '청록산수(靑綠山水)'라고 합니다. 중국 당나라 때 유행했고, 조선시대에는 숙종이 좋아...
[서화 기초 6] 표구와 배접 2014.02.05
종이나 비단에 그려진 그림을 잘 보존하기 위한 방법으로 배접과 표구가 사용됩니다.배접(禙接)이란 종이나 헝겊을 여러 겹 포개 붙인다는 뜻입니다.채색화의 경우에는 화판에 순지나 장지를 처음부터 고정하여 채색을 하지만수묵화는 화선지나 순지 등 얇은 종이에 먼저 그림을 그리게 되므로 작품이 완성된 후에 뒷면에...
[서화 기초 5] 제발과 배관기 2014.01.21
제발(題跋)그림 속에 낙관 이외에 쓴 글을 제발(題跋)이라고 합니다.제발의 '제'는 원래 서적이나 글씨, 비첩의 앞 쪽에 쓴 글(title)을 말하지요. 반대로 뒤쪽에 쓰인 것이 '발'입니다. '발'의 내용은 책이나 그림, 글씨의 내용에 관한 것 또는 펴낸 데 따른 관련 사항 등 다양합니다.그림의 경우도...
[서화 기초 4] 인장, 유인, 수장인 2013.12.24
인장과 도장은 같은 말입니다. 도장이 돌이나 나무, 쇠에 사람, 단체, 직함 등을 새긴 물체 자체를 주로 가리킬 때가 많고 인장은 이를 가지고 찍은 결과를 가리킨다는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서화에 찍은 것은 대부분 인장이라고만 칭하지요.그림 속에 인장이 찍히기 시작한 것은 원나라 말기부터입니다. ...
[서화 기초 3] 낙관(落款) 2013.11.12
낙관이란 글씨나 그림에 도장이나 글씨로 그린 사람 등을 표현한 것을 말합니다. 서양화의 싸인과 비슷하지만 조금 더 다양한 쓰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림을 그린 사람이나 날짜 이외의 낙관도 있기 때문이지요.낙관(落款)은 낙성관지(落成款識)의 준말로 고대 청동기 제작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낙성(落成)은 무엇...
[서화 기초 2] 도(圖)와 화(畵) 2013.11.05
도와 화는 우리말로 치면 모두 그림을 가리킵니다. 그러나 엄밀하게 구분하면 화(畵)는 그림의 분류를 나타내는 말이며 도(圖)는 하나하나의 구체적인 그림 자체나 그 제목을 가리키는 말입니다.예전에는 그림의 종류를 '화목(畵目)'이라고 일컬었습니다.그림의 종류는 크게 나누어 그리는 대상에 따라 인물화, 화조...
[서화 기초 1] 그림 표시 방법 2013.10.21
표시 기준하나의 그림을 설명할 때에는 그 그림에 대한 간략한 정보를 약속된 순서에 따라 적게 됩니다. 그림의 주민등록대장과 같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림을 효과적으로 관리나 설명하기 위해 관행적으로 사용하던 것이 보통 사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1) 화가 2) 제목 3) 제작연도 4) 사용 재료 5)...
[그림의 형태 5] 화첩과 편화 2013.09.30
여러 그림을 모아 책으로 묶은 것을 화첩(畵帖)이라고 부르지요. 화첩의 첩(帖)자는 표제, 즉 제목을 뜻합니다. 기계식 제본이 소개되기 전에 책은 손으로 묶어 만들었죠. 묶여진 책의 표지에는 좁고 긴 비단 같은 것을 붙이고 거기에 제목을 적어 놓는데 이것이 바로 '첩'인 것입니다.따라서 원래 화첩이란 말...
[그림의 형태 4] 부채 그림 2013.09.17
정선(鄭敾) <해인사도(海印寺圖)> 선면 지본담채 22.9x67.5cm 국립중앙박물관부채는 손에 쥐고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로 더위를 피하는 도구입니다. 여기에 장식용으로 그림이 그려지면서 부채그림 형식이 나타났지요. 부채는 동양이나 서양에서 모두 기원전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습니다. 당시의 부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