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분을 아교풀에 갠 것을 금니(金泥)라고 합니다. '금'은 금 금(金)자이고 '니'는 진흙 니(泥)자 입니다.
금니를 안료처럼 사용하여 그린 산수화를 "니금(泥金)산수화"라고 합니다. 금분을 아교에 섞어 안료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켜 중국에서는 니금, 일본에서는 금니라는 말을 주로 씁니다.
금니를 안료처럼 사용하여 그린 산수화를 "니금(泥金)산수화"라고 합니다. 금분을 아교에 섞어 안료로 사용하는 것을 가리켜 중국에서는 니금, 일본에서는 금니라는 말을 주로 씁니다.
아교에 갠 금분물은 그림에 사용되기 이전에 경전을 베껴쓰는 사경(寫經)에 이용되었습니다.
금을 이용하여 글자를 쓰면 그 귀함이 배가되었겠지요.
단순한 문자(文字) 사경에서 더 나아가 글의 앞쪽에 경전 내용을 변상도(變相圖)로 그려넣을 때도 금니를 사용하다가, 이를 통해 니금화로 발전한 것으로 보입니다.
감지금니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 권34. 보물752호, 고려 1334년, 34×11.5㎝.
쪽물 들인 닥종이에 금니로 그린 변상도.
조선시대에 그려진 가장 앞선 니금화는 이정(1554-1626)이 1594년에 그린 대나무 그림입니다.
산수화로는 뒤를 이어 이징(1581-1674)이 그린 대작 니금산수도가 유명합니다.
이정 <고죽枯竹>《삼청첩三淸帖》중 1594년 흑견금니金泥 39.5x25.5cm 간송미술관
산수화로는 뒤를 이어 이징(1581-1674)이 그린 대작 니금산수도가 유명합니다.
이징 <니금산수도> 17세기전반 흑견금니 87.8x61.2cm 국립중앙박물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