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론 13] 당시화보 2016.11.29
당시화보(唐詩畵譜)조선시대 후기의 화가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중국 화보 중 하나가 당시화보입니다. 중국 신안 사람인 황봉지(黃鳳池 생몰년미상)라는 분이 1620년경에 편찬, 간행한 책입니다.문학인 시와 그림을 하나로 합친 화보로 왕유, 이백, 두보 등 유명 당나라 시인(詩人)의 시를 바탕으로 해서...
[화론 12] 고씨화보 2016.11.21
고씨화보(顧氏畵譜)중국에서 들어온 화보 중에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가 고씨화보입니다. 겸재 정선이 그린 귀여운 다람쥐 그림은 『고씨화보(顧氏畵譜)』에 실려 있는 명나라 화가 도맹학(陶孟學)의 그림을 본떠 그린 것입니다. 고씨화보 그림과 겸재 정선의 다람쥐 그림윤두서가 그린 것으로 전해지는 청설모 그림 ...
[화론 11] 역대명화기 2016.11.15
역대명화기(歷代名畵記)역대명화기는 중국 회화에 관한 최초의 백과사전적 이론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나라 말기인 847년에 장언원(張彦源 815-907)이라는 사람이 여러 자료에 보이는 회화에 관한 이론, 화가 등에 대한 기록을 종합, 수록한 것입니다.중국 최초의 산수화론으로 손꼽히는 종병(宗炳, 375...
[화론 10] 예황식(倪黃式) 산수 2016.10.22
예황식(倪黃式) 산수 "예황식 산수"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예황은 원나라때 문인화가 예찬(倪瓚 1301-1374)과 황공망(黃公望 1269-1354)을 합쳐 부르는 말입니다. 예황식 화풍, 예황식 산수화라고 불리는 그림이라면, 구도는 예찬 특유의 구도법을 따르고 용필에서는 황공망이 자주 쓴 표...
[화론 9] 잔산잉수(殘山剩水) 2016.10.05
잔산잉수(殘山剩水). 남아 있는 산과 강이라는 뜻으로 원래는 당나라 두보의 시에 나오는 말입니다. 여기서는 망국 또는 전란 이후의 황폐해진 산하를 가리키는 것이었는데,명나라 중기 이후에 남종화가로 분류되는 문인화가들이 즐겨 그린 산수화에 산의 일부와 강의 일부만 그린 것이 많아서 이를 "잔산잉수식 표현"...
[화론 8] 사의寫意 2016.09.27
사의(寫意)동양화의 큰 두 줄기 흐름을 사실적 묘사의 전통과 상징적 묘사의 전통으로 나눈다면, 그 중 "상징적 묘사" 전통을 대표하는 용어가 바로 "사의"입니다. 사물의 있는 형상, 형체 그대로를 그린다는 사형(寫形)과는 반대로 그 ‘뜻을 그린다’는 의미가 됩니다.북송시대이후 문인화가들이 그림 제작과 감...
[화론 7] 편파구도 2016.09.20
편파구도(偏頗構圖)조선 초기의 산수화에 보이는 특징적인 구도를 설명하기 위한 용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편파는 한쪽으로 치우쳤다는 뜻이니, 초기의 산수화에 산과 언덕, 집 또는 폭포와 다리 등 그림 속 요소들이 한쪽에 몰려있는 경우가 많았던 것을 가리킵니다. 이런 구도법의 유래는 현재까지 불분명한데...
[화론 6] 대관(大觀)산수/변각(邊角)구도 2016.09.08
산수화의 구도법 중에 대관구도라는 것이 있습니다. 대관(大觀)이란 큰 시각이라는 의미로, 산수화를 그리면서 화면 속에 산 전체의 모습을 모두 그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오대와 북송 시대를 거치면서 완성되었습니다. 곽희의 <조춘도>는 전형적인 대관산수화라 할 수 있겠습니다. (참고로 대관은 북송의...
[화론 5] 신묘능(神妙能) 삼품와 일품(逸品) 2016.08.30
신묘능(神妙能) 삼품와 일품(逸品)신-묘-능 삼품이란 각각 신품, 묘품, 능품을 뜻합니다. 품은 ‘품등’ 즉 평가한다는 뜻입니다. 신품(神品)은 하늘이 내린 솜씨, 묘품(妙品)은 일반인의 생각이 미치지 못하는 것까지 그려내는 것, 능품(能品)은 잘 닮게 그린 것의 뜻으로 쓰였습니다.역사상 '품'자를 사용...
[화론 4] 삼원법 2016.08.16
삼원법(三遠法)동양에도 원근법 비슷한 것이 있습니다. 11세기에 활약한 북송의 궁중화가 곽희(郭熙 약1023-약1085)가 산수화의 입체적 표현을 위해 제시한 중국식 원근법이 바로 삼원법입니다. 그는 산의 실체가 계절의 변화에 따라 달리 보일 뿐만 아니라 비, 안개, 구름에 의해서도 모습이 바뀌므로 산의...
[화론 3] 기운생동 2016.08.10
기운생동 氣韻生動사혁이 화육법의 하나로 거론했지만 이후 동양화의 제작은 물론 감상에 있어 최고의 기준이 된 것이 이 "기운생동"입니다.사혁이 거론했을 때에는 애초에 그려진 그림 속에 살아있는 듯한, 혹은 자연 그대로와 같은 생기와 생명력이 담겨 있음을 뜻했습니다. 즉 그림 속에‘기운이 생동한다’는 것이지...
[화론 2] 화육법(畵六法) 2016.08.04
화육법(畵六法)남북조시대에 제(齊)나라와 양(梁)나라에서 활동한 화가 겸 이론가였던 사혁(謝赫, 씨에허 479-502)이라는 사람이 있습니다.그는『고화품록(古畵品錄)』이라는 책에서 당시까지의 이름나 있던 화가 24명의 그림을 품평(品評)하면서 6가지 기준을 제시했는데, 이를 화육법(畵六法)이라고 말합니다...
[화론 1] 화론畵論이란? 2016.07.21
화론畵論은 회화에 관한 이론을 뜻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그림 제작에 관련된 이론만 해당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외에 그림의 감상이나 품평에 관한 것에서부터 화가에 대한 전기나 일화, 그림 속의 화제(畵題) 그리고 그림의 분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내용을 모두 포괄해 화론이라고 부르는 것이 보통...
[그림의 종류 29] 삼국지연의도 2016.07.01
조선후기에 유행한 중국소설 『삼국지연의』의 삽화에서 독립한 <삼국지연의도> 계통이 있습니다. 서울역사박물관에는 보물 142호인 동묘(東廟)에 있었다는 높이 2미터가 넘는 대작 삼국지연의도가 있는데, 이는 현존하는 삼국지연의도 중 가장 크고 작품성도 인정받습니다. 동묘는 삼국지에 나오는 관우를 ...
[그림의 종류 28] 까치호랑이 2016.06.15
연말 연초에 삿된 것을 물리치고 경사스런 일을 기원하기 위해, 소위 "벽사진경(辟邪進慶)"을 위해 제작된 그림을 세화(歲畵)라고 합니다.세화의 대표로 "까치호랑이" 그림을 많이 꼽습니다.세화는 나쁜 것을 물리쳐야 하므로 닭과 호랑이와 같은 주술성이 강한 동물 그림이 주로 그려졌고, 좋은 소식을 가져오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