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 조하나 11th 개인전 미궁의 표상
장 소 : 박여숙화랑
기 간 : 2019.10.10-11.11
마치 어린 시절의 종이접기를 하듯, 평평한 삼베나 모시, 견을 꼭꼭 접고 정교한 바느질로 이어 곡선의 유려한 모양새를 만든다.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있는, 손에 쥐면 힘없이 구겨지면서도 손을 펴면 다시 원래 모양으로 돌아오는 섬유공예 작품으로 잘 알려진 조하나의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전통 기법의 섬유공예를 이어 활발하게 작품 활동 중인 작가 조하나는 이 '접기' 작업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는다.
그는 고된 육아 기간을 거칠 때 바느질을 통해 정신적 치유가 되었음을 고백하기도 했다. 천과 실에 불과했던 것들이 시간과 공을 들인 후에 완성된 형태로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게 될 때 창조자가 받는 정신적 쾌감은 만들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는 고된 육아 기간을 거칠 때 바느질을 통해 정신적 치유가 되었음을 고백하기도 했다. 천과 실에 불과했던 것들이 시간과 공을 들인 후에 완성된 형태로 아름다운 자태를 드러내게 될 때 창조자가 받는 정신적 쾌감은 만들어본 사람만이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수 천 년의 세월을 거쳐 내려오면서 시대적 정서들을 누적해 온 바느질의 다양한 기법을 현대적 미감에 녹여 냈다. 선조들이 부채, 종이등, 빗접, 주머니 등을 만들 때 밤새워 접고 기웠던 그 공력이 조하나의 파우치, 브로치에서도 느껴진다. 여러 겹의 주름을 세밀한 감침질로 고정하고, 실끈으로 당겨 둥글고 모난 여러 가지 형태의 탄력있는 오브제를 만들어낸다.
이전보다 재료와 방식, 대중성 스펙트럼을 넓혀 더 많은 사람들이 공예 작품을 생활 속에 들여올 수 있도록 배려한 점 또한 눈에 띄었다. 그 우아함과 소박한 멋의 조화가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나갈지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