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통념을 유쾌하게 흔들어버린 작가의 상상력
  • 2719      

전시제목: 트릭스터(TRICKSTER)전
참여작가: 서현욱, 오세린, 오화진
전시기간: 2018.6.25 - 7.28
전시장소: 서울 신한갤러리 역삼
글: 김세린(미술평론가)>

작가는 작품을 제작하기 전 구상을 한다. 생각을 정리하면서 자기 손으로 이를 어떻게 표현할지 고민한다. 그 과정은 즐거우면서도 치열하고 고되다. 순간을 즉흥적으로 담기도 하지만 그 즉흥의 순간 직전까지 작가는 고민한다.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그렇기 때문에 작품은 작가의 생각을 온전하게 담은 상징물이자 관람객에게 이를 전달하는 매개이다.

굉장히 당연하게 치부되는 논리이지만 이 당연함은 작품을 빚어나가는 작가의 고뇌와 노동, 그리고 관람객과의 치열한 소통이 담보되어야 성립된다. 신한갤러리 역삼에서 열리고 있는 서현욱, 오세린, 오화진 3사람의 그룹전 ‘트릭스터(TRICKSTER)’는 작품을 사이에 둔 관람객과의 치열하고도 유쾌한 소통을 전면에 세웠다.

전시 주제인 트릭스터는 대중문화에서 자주 쓰이는 개념이지만 친근하다면 친근하고 생소하다면 생소한 개념이다. 매니아들에게는 낯익지만 이에 친숙하지 않는 관람객에겐 전시의 흐름을 따라가기 다소 난해할 수도 있을 것 같다는 느낌도 들었다.


애니메이션 루니툰쇼의 벅스바니

트릭스터는 신화, 설화의 해석에 처음 등장했다. 도덕적 관습이나 사회적 규약보다는 안팎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때로는 틀을 흔들기도 하고 영리하게 판을 재정립하기도 한다. 혼돈을 가져오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일들은 사회적으로, 일상적으로 좋은 결말을 맺는다. 이들은 자유롭고 익살스럽게, 때로는 진지하면서도 사회적 통념과 다른 변칙적인 행동을 하지만 명분은 분명하며 생각보다 그 명분은 정의로울 때가 많다.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 잭 스패로우

여러 설화에서 나오는 영리하면서도 예측 불가능한 토끼나 여우 그리고 그리스로마 신화의 헤르메스나 북유럽 신화의 로키 등이 대표적인 태초의 트릭스터로 꼽힌다. 현대 대중매체에서는 영화 캐리비안의 해적의 잭 스패로우, 애니메이션 루니툰쇼의 벅스바니, 봉이 김선달의 김선달, 전우치전의 전우치 등이 대표적인 트릭스터 캐릭터들이다.

이들 트릭스터는 주로 대중매체나 책을 통해 접하게 되는 게 보통이다. 그래서 우선 이들 작가와 작품에서 트릭스터가 어떻게 표출될지가 우선 궁금했다. 트릭스터는 유쾌하고도 다채로우며 그리고 입체적이면서도 돌발적인 문화적 함의와 성격을 담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에 전시 역시 이러한 성격을 담고 있지 않을까 하는 예상도 있었다.

전시에서 트릭스터를 둘러싼 관계는 그간 매체에서 선보인 트릭스터와는 사뭇 다르다. 전시는 주제를 중심으로 ‘작품’과 ‘작가’, ‘관람객’이 주요 요소를 이룬다. 흔히 대중매체에서는 작가의 의도가 한쪽 방향으로 시청자나 독자에게 전달된다면 여기서는 작가가 관람객의 생각을 놓지 않고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한다. 그 때문에 이 전시에서 작품에 담긴 함의가 매우 중요하다. 한편으로 트릭스터를 풀어간 작가들의 방식이 매우 흥미롭게 보였다.  

금속공예가 서현욱, 오세린, 섬유공예가 오화진은 자신이 지닌 고유의 작업기법과 재료를 써서 트릭스터를 구축했다. 상상력과 각각의 생각은 트릭스터가 지닌 세계관이며 작가가 작품을 구현해낸 손과 기술은 트릭스터를 구축하는 도구이다. 이렇게 완성된 작가의 트릭스터는 관람객에게 제시된다. 즉, 세 작가의 작품주제는 관람객에게 제시하는 세 가지 트릭스터이다.


서현욱 철 컬러MDF 전자기기 2017 ⓒ신한갤러리 역삼

서현욱은 샤먼과 그외 미신적인 의미에서 형성된 인과관계와 현재의 괴리를 다룬다. 통념으로 당연하게 여겼던 여러 감정과 생각은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견해는 트릭스터가 지닌 주요 트릭으로 자리한다.


서현욱 철 컬러MDF 전자기기 2017 ⓒ신한갤러리 역삼

서현욱은 이를 철과 같은 금속과 다른 재료를 혼합해 제작한 설치작품들을 트릭스터로 제시한다. 조명에 따라 달라지는 그림자의 형태와 투과되는 빛의 변주는 결국 우리가 생각하는 통념의 인과관계가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보여준다.


오세린 <베트남프로젝트> 혼합매체 가변크기 2018 ⓒ신한갤러리 역삼

오세린은 현대 물질문화를 주를 이루는 자본주의와 대량생산에 관한 의문을 제기한다. 현대 기성품과 생활용품 등 주변을 둘러싼 물질들의 대다수는 기계가 제작한다. 작가는 대량생산이 첫 설계시 만들어지는 견본을 원본으로, 기계에 들어간 순간 이 원본은 완벽하게 복제되어 대량생산되는 것으로 규정한다.


오세린 <새들은 날기 위해 머리를 없앤다>(부분) 단채널비디오 2018 ⓒ신한갤러리 역삼

작가의 이러한 규정은 일상생활에서 기성품을 단순하게 소비하는 일반적인 행위 자체에 대한 생각을 뒤흔든다. 동시에 작가는 작가가 직접 만든 금속공예품을 중국과 베트남의 공장으로 가져가 제작을 맡기고 이를 전시에 제시한다.

원본만 있다면 어디서든 복제가 가능한, 기성품에 대한 통념과 함께 공예라 하면 수공예에 한정하고 있는 사회에서 완벽하게 구축되어 있는 통념을 작가는 현실을 기반으로 작가의 상상력이 더해 통념을 뒤흔든 트릭스터를 구성해 관람객에게 제시한다.


오화진 <개인의 문화 #세상을 디자인하다 ‘조물조물조물주’>(본체)
Wool PVC 재봉틀 그 외 손바느질 2018 ⓒ신한갤러리 역삼

오화진은 작가의 내면으로 대변되는 인간의 내면에서 펼쳐지는 여러 이야기를 색채, 주름, 꼬임, 요철 등 섬유가 지닌 다양한 속성을 이용한 작품을 통해 트릭스터로 구축한다. 그리고 단순히 평면적으로 표현된 섬유가 아닌 조명, 설치 등을 최대한 활용하여 섬유가 입혀지고 표현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강구해 하나의 작품으로 표출한다.


오화진 <개인의 문화 #세상을 디자인하다 ‘조물조물조물주’>(본체)
Wool PVC 재봉틀 그 외 손바느질 2018 ⓒ신한갤러리 역삼

작품은 본체와 사람의 감각을 상징하는 신경, 생명을 상징하는 심장 등 여러 요소로 구성되었다. 작품 안에서 섬유가 지닌 속성과 표현의 폭은 응축된다. 다채로운 수법으로 구성되어 표출된 작품의 요소들은 인간의 내면을 상징한다.

인간 개개인이 지닌 생각과 상상은 각기 다르며 우리의 생각과 다르게 소통을 통해 완벽하게 합일될 수 없음을 작가의 다채로운 작품은 하나의 트릭스터가 되어 관람객에게 제시된다. 결국 서로의 다른 생각이 트릭스터가 될 수도 있고, 인간의 다채로운 생각 자체가 하나의 트릭스터임을.

작품에서 드러나는 이런 통념의 재해석과 파괴는 관람객에게 그간 대중매체에서 등장한 트릭스터들과 마찬가지로 당연했던 것에 대한 다양한 생각을 유도한다. 작품은 작가가 구축한 트릭스터로 관람객에게 여러 생각을 제시하는 매개가 된다.

그리고 금속공예, 섬유공예가 지닌 속성과 형태, 전시형식을 비트는 변주를 통해 당연한 것에 대한 유희는 트릭스터가 된 작품이 관람객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이 트릭스터를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트릭스터로 인정할 것인가의 판단은 관람객의 몫으로 남겨두어 관람객 역시 트릭스터를 구축하는 요소로 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전시에 선보인 작품 자체가 공예를 둘러싼 통념을 흔드는 트릭스터라고도 생각되었다. 수공예와 기성품, 복제, 창작과 실용공예 등 현재 공예를 둘러싼 여러 키워드들은 세 작가의 작품에서 다양한 형태로 풀어져있다.

작품들은 하나로만 고착되는 확고한 경계보다는 설치, 매체, 복제 등 여러 수단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예를 기반으로 한 여러 융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요소들을 최대한 보여줌으로써 그 자체를 공예의 통념에 대한 작가의 상상력이 가미된 트릭스터를 작품을 통해 제시한다.
실용공예와 함께 창작, 예술공예가 공존하는 현대사회에서 공예를 근본으로 한 이러한 다양한 견해는 현대사회와 함께하는 공예의 다각화를 위해서도 필요한 시도라고 생각한다.(*)

글/사진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2 12:21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