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실제 위작과 비교해 보는 진작의 무게 - 『미술품 감정과 위작』
  • 264      


송향선 『미술품 감정과 위작』 아트북스, 2022.10


“이 그림은 가짜입니다.” 척 보고 진위를 구별해 내는 미술 감정 전문가는 현대에선 있을 수 없다. 범행 현장을 척 보고 범행을 유추해 내는 셜록 홈즈가 현실에 없듯이.

실제로 유통되었던 위작 미술품을 밝혀낸 과정을 속속들이 볼 수 있다니, 범행 현장과 수사 기록을 직접 보는 것보다 흥미진진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이다. 

지난 가을 발행된 『미술품 감정과 위작』의 글쓴이는 1980년대부터 국내 주요 감정기구(사단법인 한국화랑협회, 사단법인 한국미술품감정협회, 주식회사 감정연구소, 주식회사 한국미술품연구소, 주식회사 한국미술품평가원 등)에서 40년 가까이 중심적 역할을 해 온, 한국 미술품감정의 역사를 꿰뚫고 있는 장본인이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케이스는 신문에 오르내리고 법정까지 갔던 위작 사건들을 비롯, 많은 위작들 가운데 주요 타겟이 되었던 스타 작가 세 사람,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의 위작들과 그것을 밝혀낸 과정이다. 

무엇보다 위작으로 판단된 그림과 기준이 되는 진작을 시원하게 옆에 놓고 맨눈으로 비교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차별적이다. 각 작가의 생애와 작품 특징을 서술한 것도 편의를 위해 필요한 내용이었지만, 진작과 위작을 나란히 놓고 나서 전체 화풍, 기술적인 면 등의 논거를 차례로 짚어 놓은 점이 책의 주요 내용. 아마도 감정을 위한 회의 과정에서 감정 위원들이 남긴 발언들도 회의록 같은 것으로 정리한 셈이 되어서, 길지 않은 기록이지만 우리 근현대 위대한 작가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에도, 위작 감별 과정에 대한 궁금증을 가진 이들에게도 좋은 지침서가 될 만하다. 무엇보다 우리가 위작을 직접 볼 기회는 거의 없기 때문에 그 이미지가 작게나마 빼곡하게 실려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감정 1세대로 황무지나 다름없던 미술품 감정업계와 학계의 기반을 닦고 그 공과 과를 모두 짊어진 분이니, 단순히 세 작가의 주요 사례를 정리한 것이라고 해도 그 무게가 만만치가 았다. 

2013년 한국미술품평가원의 10년간의 감정 백서에서 그동안의 감정 의뢰 주요 작가를 25인을 꼽았는데, 의뢰 건 수로만 따지면 천경자가 1위, 김환기 2위, 박수근이 그 다음을 이었다. 박수근의 경우 247건의 의뢰 중 진품으로 결론난 것이 152점, 위작이 94점, 불능이 1점이었다. 박수근의 경우 작품은 고가인데 소품이 많다는 특징 때문에 위작을 맘먹고 제작, 유통하기 쉬운 점이 있었던 듯하다. 그러나 책에 실린 위작들을 보면 그의 두터운 마티에르와 치밀한 구성은 그대로 흉내내기에 역시 어려움이 많아 쉽게 위작을 가려낼 수 있다. 2005년 김용수의 이중섭, 박수근 위작사건과 2007년 빨래터 사건은 정부가 몇몇 작가의 전작도록(카탈로그 레조네) 발간사업에 투자하게 만든 계기가 된다. 

두 번째 작가인 이중섭의 경우는 감정 의뢰 건수 187, 진작 77, 위작 108. 감정불능 2 건으로 위작 비율이 셋 중 가장 높다(58%). 특히 오래된 일본 엽서에 그린 엽서 그림 위작이나  은지 그림 위작이 많다. 역시 진품의 크기가 작고, 그가 즐겨 사용한 재료를 구하기 쉽기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소 그림의 경우 감정 의뢰된 것만 수십 점이라는데, 보여진 위작의 예들이 다양해서 흥미롭다. 위작은 기준작의 뛰어난 작품성을 다시 보게 하는 반면교사가 된다. 소장 경위를 꾸며낸 것들도 재미있는데, 저자는 그 에피소드만 모아도 재미있는 소설 한 권이 될 것이라고 하기도 했다. 

이중섭의 그림은 당시에도 아끼고 사랑했던 사람이 많았던 만큼 함부로 흘러다닌 예를 볼 수 없고, 소장 경위나 출처도 잘 알려져 있어서 상태가 비교적 양호해서, 대개 훼손시켜 오랜 시간이 지난 것처럼 보이게 만든 위작은 더 의심스럽다. 카탈로그 레조네 제작 이후에는 작품 세계가 훤히 드러나버려 위작이 나오긴 힘든 사정이다. 새로운 작품의 발굴의 경우는 진작으로 인정받기 어려운 면이 있을 수도 있겠다. 


감정기구의 그간의 활동에 미비한 점이 없지는 않았겠지만, 마치 미술계가 비리의 온상인 것처럼 보도해 온 언론의 문제도 짚고 있다. 감정위원회의 이중섭 위작 판정 이후 한 평론가가 이를 비난하며 ‘감정위원회가 이를 위작으로 판정한 뒤에 위원 개인이 3억에 사겠다고 했다’는 근거없는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해서 그를 바로잡느라고 고생한 이야기 등을 적어 넣었는데, 어느 쪽이 맞느냐를 넘어 언론의 보도 태도에 대한 비판은 받아들일 만하다. 

3부 김환기의 경우, 미술사가들에 의해 연대별로 체계화되어 있고 김향안을 비롯해 유족들과 지인들, 제자들의 증언이 생생하게 남아 있어, 작품 감정시 수많은 자료를 참고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감정에 편리한) 작가이다. 대부분의 의뢰작들도 그의 서정적 감성, 선, 색채를 흉내내지 못해서 기준작과 나란히 비교하니 어렵지 않게 결론을 낼 수 있다. 그럼에도 진품 판정에 시비가 붙는 일이 없지는 않다. 2006년의 예에서 한 옥션의 의뢰로 진품 판정이 된 작품을 한 화랑 대표가 의혹을 제기했고 다시 옥션의 적극 대응으로 사건화 되기도 했다. 소장 경위, 출처, 전문가의 재확인 등을 통해 2011년 김환기 도록에 진품으로 실렸다고 한다. 


현장의 중심에 있던 사람으로서, 그리고 자료를 갈무리한 사람으로서 기록을 남겨야 한다는 의무감도 있었을 것이고, 미술품 위작 사건과 관련된 대중들의 곱지 않은 시선, 더 나아가 잘못된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생각도 컸으리라. 실제 들어왔던 위작의 예에서 ‘감정 경위를 소개함으로써 독자들이 진품에 대한 안목을 벼리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함’이라고 밝히고 있다. 

흘깃 보아도 헛웃음이 나올 만큼 터무니없는 허접한 위작이 많다. 그러나 어찌 생각하면 훌륭한 작가의 태작이려나 싶은 작품도 있고, 진작으로 확인된 작품들은 혹시 작가가 직접 그린 것이 아닐 가능성은 없는지, 억울한 구매자가 생길 가능성은 없는지 등을 생각하게 된다. 진위 감정을 업으로 삼는 사람이 아니더라도 미술품을 구매하거나 감상하거나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제대로 된 작품 보는 눈을 갖추는 훈련은 중요하다. 미술품을 원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가치가 오를수록, 가짜의 생산은 늘어나게 마련이다. 감정으로 그것을 구별해내는 기술만큼이나 위작을 만들어내는 기술도 발전을 거듭할 것이다. AI에게 기댈 수 있는 시대는 아직 오지 않았고. 

다수의 감정위원들이 내린 결론이 틀리고 소수의 의견이 맞는 경우도 있고, 치명적인 실수로 인해 나중에 진위가 뒤집어진 예도 있다고 인정한다. 고의성이 있다면 문제되겠지만 실수로 오판을 했다고 용기내어 바로잡는다면 괜찮지 않겠느냐는 변명 아닌 변명도 느껴진다. 미술품 거래와 유통의 역사가 길지 않고 감정의 역사는 더 짧으니, 그 기간 동안에 여기까지 끌어오면서 겪었던 수많은 경험이 발전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기대는 접어야 할 것이다. 아직 갈길은 멀지만 희망도 있다. 더 체계적으로, 더 정밀하게, 더 객관적으로, 더 독립적으로 발전할 여지가 있다.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0.29 06:36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