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같은 시대 다른 예술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 2928      


윤철규,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 마로니에북스, 2020.04


그림이 예술작품으로 여겨진 이래, 이들은, 특히 요즘은 다양한 방법으로 해석되고 ‘읽힘’당한다. 미술에 대한 글들은 또 각자의 방법과 시각으로 작품에 접근하여 해설을 한다. 그러나 독자-감상자는 이 접근이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는 마음가짐을 가지고 글을 대해야 한다. 어떤 작품이 만들어지고 세상에 나와서 오랜 세월을 거쳐 우리 눈앞에 전해지기까지, 또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기까지는 많은 조건을 거쳐야 하고 난관을 이겨야 한다. 이렇듯 복잡한 예술 앞에서 우리는 좀더 풍부하게 작품을 볼 권리를 가지고 있다.  

『조선 그림과 서양명화』는 우리에게 비교적 많이 알려진 서양의 명화들이 그려질 무렵 한반도에서는 어떤 그림이 그려지고 있었을지 한번쯤 궁금함을 느껴본 사람들에게 어필하는 책이다. 저자는 서문에서 <모나리자> 앞에 선 군중들 사이에서 든 의문, ‘다빈치가 모나리자를 그리고 있을 때 조선에서는 누가 무슨 그림을 그리고 있었지?’에서 시작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단순히 같은 연도에, 동시에 제작된 것을 찾아 연결한 것은 아니고 비슷한 시기의 그림들 중에서 그림을 둘러싼 다양한 층위의 정보들, 즉 화가의 생애, 도상, 시대적 배경, 맥락 등등에서 공유 지점 혹은 반대 지점이 있는 그림을 짝지웠다. 

챕터는 역시 시대별로 나뉘어졌다.
01 고려 말과 조선 전기
02 조선 중기
03 조선 후기

조선의 역사를 시대 구분으로 하여, 비슷한 시기에 그려진, 일정한 키워드를 공유하는 짝이 총 60쌍. 시대의 범위는 고려말을 포함하고 대부분 조선시대로 대략 14세기 말부터 19세기말까지의 500년이다. 서양 전체와 동양의 작은 나라의 미술을 대응시키는 것은 언뜻 생각해도 무리가 있다. 결과물의 양으로도 그렇고 미술, 회화에 대한 인식 자체가 달랐기 때문에 거기서 오는 괴리감도 상당하다. 그림을 그리고 감상하는 기본적인 차이 외에도 매체의 차이 같은 근본적. 물질적 차이도 사뭇 다르다. 그러나 우열을 가리고자 한 목적이 아니고, 서양의 대작 걸작들을 의식하면서 조선시대의 그림들을 찾고 고르는 과정에서 새로이 발견되는 흥미로운 점들을 이야기해주는 부분이 상당히 많아서 그림에 조금 관심이 있었던 사람이라면 참신한 접근으로 그림을 다시 볼 기회를 가지게 된다. 

중간중간 가볍게 다루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시각차이도 흥미롭고, 그림 제작과 감상의 목적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있지도 않은 험준한 산을 그리는 것은 ‘왜 산수화를 그리는가’하는 산수화의 기본 정신과 맞닿아 있다. 산수화는 눈에 보이는 산과 강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그림이 아니다. 평소에 볼 수 없고 갈 수도 없는 신비롭고 이상적인 세계를 그려, 보는 사람에게 일상과 무관한 동경의 세계를 간접체험시켜주는 것이 산수화가 뜻하는 바이다. 

실제를 표현하기 위해 동서양은 각각 어떤 고민을 했었는가, 시각차(크기), 구도, 가깝고 먼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한 다양한 방법을 대하면서 우리 그림에 대한 의문이 더욱 구체화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려 때 그려졌던 훌륭한 완성도와 세련미를 보여주던 불화의 전통은 어디로 갔을까? 고려에 전해졌던 북송 시대의 테크니컬한 산수도들은 당시 그림 좀 그린다는 사람들에게 아무런 영감을 주지 않았을까?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 목수나 대장장이(기술자, 장인)보다 시인이나 문장가(창조자, 예술가)와 더 가깝게 느낀 그 지점은 동서양이 어떻게 다를까? 화가의 자의식이 발현되며 작품 안에 자신의 이름을 적극적으로 새기게 되는 시기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이런 의문에 대한 가설들을 하나하나 풀어간다. 


유명한 그림들도 상당히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동안 소개가 잘 되지 않았던 그림들을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젠틸레 벨리니의 <산마르코 광장의 성 십자가 형벌>과 짝을 이뤄 소개된 <궁중숭불도>는 30년 전에 발견되어 국내로 들어온 그림이다. 그림 속 전각의 구조, 사람들의 옷차림, 나뭇가지의 묘사법 등에 의해 조선 전기로 제작 시기가 추정됐다. 조선 초기 아직 궁궐 내에 불당이 남아 있었던 사실. 왕실 여인들이 살던 인수궁이나 자수궁에서 열린 불사를 그린 그림일 것이라 추정한다. 그렇다면 제작 시기가 세종, 세조, 성종 때로 앞당겨질 수도 있다. 이와 대비된 <산마르코 광장의 성 십자가 형벌> 또한 성(聖) 유물을 모시며 행사(축제)를 열었던 그림이다. 베네치아 화가 벨리니의 기량이 절정이었을 때 신앙공동체인 성 요한 동신회가 새로 마련한 건물 대형 홀에 걸 용도로 주문해서 그려진 것으로, 그리스도가 매달렸던 십자가 나무 조각을 기증받아 매년 그 유물을 가마에 싣고 산 마르코 광장을 한 바퀴 돌던 성 십자가 축제 행렬인데, 특히 1444년 이 성유물이 병이 난 사람을 치유했던 기적의 장면을 담았다. 종교적 행사와 그 믿음을 주제로 한 그림이라는 공통점으로 전혀 다른 두 그림을 엮어서 해설. 이 꼭지의 제목은 “궁정과 도시 전체가 신앙의 현장”.

신사임당의 <초충도>와 짝을 이룬 그림은 아르침볼도의 이색적인 얼굴 그림이다. ‘미물의 세계와 변신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묶였다. 신사임당이 자수병풍 수본을 정교하게 그리면서 새로운 초충도 형식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가설 하에, 이전에 찾아볼 수 없는 이색적인 식물 그림을 그린 서양 그림으로 각 계절의 꽃이나 과일로 사계절을 표현한 얼굴을 그린 아르침볼도의 그림을 연결한 것이다. 사실 이 그림은 요정이 식물로 변하는 변신 이야기를 가져다 쓰면서, 지상의 권력자의 알레고리를 담은 것이다.


신사임당 <여뀌와 사마귀> <가지와 나비>


아르침볼도 <가을>


새로운 전형을 만들어 낸 <무이구곡도>와 <이집트로 피난 가는 풍경>, 본국에서는 알아주지 않았지만 이국 땅에서 실력을 발휘했던 엘 그레코와 맹영광, 마지막 고전적 산수를 그려낸 이징과 이상적 풍경화 시대를 정착시킨 끌로드 로랭 등 다양한 지점에서 키워드를 찾았다. 


무이구곡도 부분


<이집트로 피난 가는 풍경>

이 책에서 돋보이는 점은, 각 꼭지의 첫 페이지가 연표의 일부처럼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비교하는 두 그림이 연속된 타임라인 중의 어느 부분에 해당하는지를 이미지와 함께 나타내고 있어, 제시된 다른 그림들과 제작 시기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보여준다. 비슷한 시기의 그림들 중에서 연결고리가 있는 것들을 묶어 순서가 조금씩 바뀐 것을 파악할 수 있기도 하다. 책의 맨 뒷면에는 연도비교를 직접 할 수 있는 시대 대조표도 수록되었다.

감상법 자체가 차이가 나는 동양의 그림과 서양의 그림이 나란히 책에 앉혀지는 바람에 동양 그림들이 약간 손해를 보는 느낌이 없지 않다. 시각 외적인 이야기가 그림을 덮고 있으면 오히려 작품 자체를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두 그림을 나란히 걸고 감상할 가능성은 전혀 없기에, 페이지를 이리저리 넘겨보며 다르게 그림에 접근하고 환기하면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여행하는 재미는 쏠쏠하다. 그림을 감상하면서 또다른 관점으로 생각할 거리를 주기에, 성실한 독자라면 인기 있는 서양 그림에 기대 우리 옛 그림을 좀더 흥미롭게 소개하고자 하는 저자의 개인적인 바람은 충분히 이뤄질 수 있을 것 같다.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9 23:33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