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유득공의 『경도잡지』를 새롭게 해석한 『조선의 잡지-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 2469      

글/ 유승민(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


진경환, 『조선의 잡지-18~19세기 서울 양반의 취향』, :
소소의책. 2018.07.

‘잡지’라는 말은 읽어서 그 소리대로 쓰면 동음이의어가 있어서 말하는 이든 듣는 이든, 쓰는 이든 읽는 이든 신경이 쓰이기 마련이다. 진경환 교수의 새 책, “조선의 잡지” 역시 그런 데에서 자유로울 수 없어서, 아마도 저자는 이 책 제목의 뜻을 수도 없이 설명해야 했을 듯하다.
한자 ‘誌’는 글자의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음을 드러내는 부분이 합쳐진 형성자다. 『설문해자』등의 자서(字書)마다 ‘기재(記載)’를 기본 의미로 제시하고 있는데, 글자의 음을 표시하는 ‘志’부분에 ‘마음’이 들어가 있어서인지 ‘기억하다’의 의미도 유추할 수 있으며, 이체자로 지(鋕)를 쓰기도 하는데, 이는 ‘쇠’의 뜻이 주요한 것으로 보이니 아마도 ‘금석에 새겨 기록한다’는 의미로 확장된 사례가 아닐까 한다. 이들을 모으면, ‘마음에 두어 잊지 않고 금석에 새겨 후세에 보전하는 기록’이라는 뜻으로 보면 어떨까?

저자는 서문에서 2003년 무렵부터 유득공의 『경도잡지』를 새로 번역하려는 마음이 생겼다고 했다. 지금부터 15년 전에 뜻을 세운 셈이다. 그리고 그 뜻을 잊지 않았고 후학들과 함께 텍스트를 읽고 강의하고 토론하면서 이 책의 대강을 수립하여 오다가 마침내 단행본으로 완성시켰다. 誌의 참뜻에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다.
또, 후학들과 함께 읽으며 젊은이들의 생각을 들어 옛사람의 문맥과 견주어 보았던, 소중한 과정과 저자 자신의 경험에 비춤으로써 유득공의 원전을 21세기까지 확장했다고도 할 수 있다. 이는 이체자 지(鋕)의 뜻대로, 세대를 넘어 전달하려는 뜻까지 포함했음이다. 

원래 『경도잡지』는 2권 1책으로 1권의 내용이 <풍속>, 2권이 <세시(歲時)>이며, 각각 열아홉 개의 항목이 들어있다. 그리고 각 항목의 원문은 짧은 단편들이다. 이와 같은 기록물들은 항목의 설명들이 간략한 편이라 생략과 압축이 기본이다. 따라서 그 항목을 설명하려면 생략된 내용과 압축된 맥락을 끄집어내야 하므로 여간 힘든 작업이 아니게 된다. 저자는 작업의 이러한 점을 오히려 활용하여 자신의 경험을 담기도 했는데, 그 경험이야말로 당연히 후속세대들에게 또 하나의 ‘기록물’로 전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이체자 지(鋕)가 이 책에 쓰여도 좋을 법하다.

이미 15년 전부터 마음에 두기 시작하였고, 그 사이에 방대한 자료들을 섭렵하면서 이 책이 구체화한 과정을 엿볼 수 있었다. 특히 이 책의 3장의 기술에는 저자의 각별한 애정이 묻어나는 것을 느꼈다. 저자가 붙인 3장의 제목이 “먹는 낙이 으뜸일세”인데, 이 내용이야말로, 21세기 한국, 서울의 풍속을 잘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유득공이 마련한 열아홉 개 항목들을 저자는 주제별로 너덧 개씩 묶었는데 3장에는 술과 고기, 차와 담배, 과일과 반찬, 그릇, 시장과 시장사람들에 관한 내용이다. 이 내용은 지금 현재와 거의 닮은, 삶의 모습 자체여서 그런지 내용을 읽다 보면 마치 TV를 보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당연히, TV가 감히 따라오지 못할 점이 여럿인데 그 가운데 가장 큰 것은 역시 저자의 개인 경험이 녹아든 내용일 것이며, 어느 부분에서는 저자의 몰두가 어느 정도인지 알 만한 서술도 눈에 띈다.

“그런데 술 이름에 ‘술 주酒’가 아니라 ‘고膏’ 또는 ‘춘春’을 붙인 이유는 무엇일까?  (중략) ‘섬세한 방법으로 여러 번 술밑을 덮어서 순하고 풍부한淳厚 맛이 나도록 빚어내는 술을 한자로 주酎라 하고, 또 아언雅言으로 ‘춘주春酒’라고 하니, 국내외를 통틀어 무릇 춘 자를 붙이는 술은 모두 이러한 주酎의 종류에 속하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 마시는 희석식稀釋式 소주의 상표를 한번 살펴보라. ‘소주燒酎’라고 쓰여 있다. 에탄올인 주정酒精에 물을 섞어 만든 소주를 감히 그렇게 불러도 좋은가!”

누가 보아도 강개慷慨하는 저자의 심경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유득공의 서술이 ‘드라이하다’면 저자의 해설은 다르다. 이 책이 단순한 번역과 해제에 그치지 않은, 저술로 보아야 하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고, 그 타당성도 충분하지만 여기저기에 등장하는 개인의 귀한 경험과 견해, 그리고 감성도 후세대에 전해야 할 내용일 것이다. 

필자가 알기로, 저자가 나고 자란 도시는 서울이나 부모님께서 떠나온 고향은 개성이다. 개성이 어떤 곳인가? 일찍이 고려 왕조부터 중국 송나라의 고급문화가 들어와 소비되며 고려 귀족문명의 중심지였던 도읍이 아니었던가! 그 여풍(餘風)은 20세기 전반기까지도 이어져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정갈하고 점잖은 서울 양반의 문화에는 개성의 문화가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저자가 서울 양반들의 취향에 관심을 가지고 천착했던 데는 집안의 유풍도 틀림없이 작용했으리라 본다. 그리고 그러함은 저자의 손짓 하나, 고른 아이템 하나, 입성, 입맛 등에서 보이는 취향에 드러난다. 그의 그런 취향이 이 책 서술의 곳곳에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18~19세기 서울에 살던 사대부들의 취향을 핵심으로 하되, 21세기 저자의 취향까지도 읽을 수 있는 책이다. 과연, 저자의 이러한 취향은 어느 누구의 『서울 잡지』에 실려 후대에 전해질까?

글/유승민(한국전통문화대학교)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3 08:20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