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도연명 그림 저작권자는 송나라 이공린인듯
  • 7393      
[도연명을 그리다]

도연명을 그리다

위안싱페이 지음 | 김수연 옮김 | 태학사 | 2012. 7

 

서양에서 가장 많이 그려진 그림은 종교화이다. 그리고 그 대상은 말할 것도 없이 예수 그리스도. 그렇다면 동양은? 한국은 물론 중국 그림에서 압도적으로 그려진 인물은 은자다. 깊은 산속에 살면서 벼슬이나 명예 알기를 너절한 지푸라기처럼 여기는 고상한 인물들.

 

지운영(池運永)귀거래사의 한 장면을 그린 <무송관산(撫松觀山)>, 견본담채 26.5x30.5cm

그 고상한 인물들 중에서도 첫째 둘째갈 사람이 바로 도연명(陶淵明 4, 5세기경)이다. 그는 그까짓 쌀 닷 되 때문에 윗사람에게 굽실거리기 싫다고 두 달 반 만에 벼슬을 박차고 나와 , 돌아가련다라고 노래한 것으로 유명하다.

 

정선(鄭敾)이 도연명의 음주시를 그린 <동리채국(東籬彩菊)> 지본담채 22.7x59.7cm

한국의 옛 그림에도 수도 없이 도연명 그림이 전하고 있다. 이 책은 중국의 고전문학 거장이 그렇다면 이런 도연명 그림의 뿌리는 어디인가 하고 작심하고 찾아들어간 기록이다.

그에 따르면 기록에는 그가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은 같은 육조 시대에 이미 육탐미(陸探微)라는 거장중의 거장이 <귀거래사도>를 그렸다고 한다. 그러나 당시만 해도 도() 역시 신출내기 은자였는지 그림으로 그려질 만큼 유명하지 않아 신빙성이 없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전 육탐미(傳 陸探微) <귀거래사도(歸去來辭圖)> 남조 송대 5세기, 타이페이 고궁박물원

그럼, 이를 제외한 가장 그럴싸한 도연명 그림은 무엇인가. 당나라 때 육요라는 화가가 유명한 은자 여섯 사람을 그 중 하나가 도연명이 갈포 두건에 술을 걸러 마셨다는 고사를 그린 게 있다고 했다.

전 육요(傳 陸曜) <도잠 갈건녹주(陶潛 葛巾漉酒)> 당 지본담채 28.4x247.8cm 베이징 고궁

그러나 무엇보다 동쪽 울타리 밑에서 국화를 따다가. 그윽이 멀리 남산을 바라보네(彩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고 하는 풍류 분분한 도연명이 제대로 그려진 것은 송나라 때 이공린이다. 특히 워싱턴 프리어미술관에 있는 이공린의 <연명귀은도>를 계기로 도연명 그림의 체계가 잡혔고 원나라에 들어서 오늘날 우리가 머릿속에 그리는 것같은 도연명이 완성됐다는 것이다.

 

이공린(李公麟) <연명귀은도(淵明歸隱圖)> 송 견본채색 워싱턴 프리어미술관(7폭 중 제1)

그런데 어째서 송나라인가. 이에 대해 그는 우선 도연명은 생전은 물론 사후에도 오랫동안 주목을 받지 못했다고 단언하고 있다. 시는 그저 그랬고 또 공연히 객기를 부려 벼슬을 버리는 바람에 밥을 얻어먹기 위해서는 남의 집을 두드리지 않을 수 없었다고 했다. 그래도 술이라면 끝장을 볼 때까지 마시고 말아 당시로서도 대책이 안서는 인물로 여겨진 듯했다. 

 


귀거래사에서 외로운 소나무를 어루만지며 서성인다(撫孤松而盤桓)’는 장면을 그린
이공린
<연명귀은도>의 제3

  이런 인상이 바뀐 것은 6세기이다. 양무제 아들 소명태자가 문선에 그의 작품을 다루면서 비로소 제대로 된 시인 대접을 받게 됐다. 송나라 때는 만고의 학자 소동파(蘇東坡)와 성리학의 태두 주자(朱子)가 나란히 그를 적극적으로 추숭함으로 위상이 높아졌다는 것이다.

 

전선(錢選) <귀거래도(歸去來圖)> 원 견본채색 26x106.6cm 뉴욕 메트로폴리탄미술관

이유는 벼슬을 애써 구하지 않았으며 숨고 싶으면 숨었고 배고프면 남의 집 문을 거리낌 없이 두드렸고 배부르면 닭고기로 손님을 대접했다고 해서 사람됨이 맑고 고결하며(淸高) 기개와 절조가 있으며(氣節) 또 그 위에 참되고 순박함(眞淳)을 두루 갖추고 있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조맹부(趙孟頫) <연명 귀거래사(淵明 歸去來辭) 원 견본수묵 27x72.5cm 타이페이 고궁박물원

원나라 때 정형화된 도연명상을 보면 대체로 머리에 갈건을 쓰고 품이 넓은 도포를 입었다고 했다. 옷차림은 풍채가 있으며 가느다란 눈에 수염이 길다. 그리고 지팡이를 짚었는데 얼굴은 대부분 왼쪽을 향해 있다고 했다. 


 


진홍수(陳洪綬) <완국도(玩菊圖)> 청 견본채색 118.6x55.1cm 타이페이 고궁박물원

물론 이런 정형화는 명나라와 청나라를 거치면서 다양한 변종을 양산하는 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사항은 약속처럼 지켜졌다고 한다. 꼼꼼하게 글자를 해석하고 들여다보는 문학 전공자답게 출처와 전거에 대해 지나치게 해박할 정도인데 오히려 그것이 누워서 편하게 도연명 그림이란?’ 하는 독자들에게 다소 번거롭게 비춰지기도 할 듯하다. (*)

 

 

글/사진 관리자
업데이트 2024.10.28 21:56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