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고려불화대전 - 고려불화 속의 고려 얼굴들 5
  • 5905      

전시명 : 고려불화대전 -700년 만의 해후 기 간 : 2010년 10월 12일(화) - 2010년 11월 21(일)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전시명 : 고려불화대전 -700년 만의 해후
기  간 : 2010년 10월 12일(화) - 2010년 11월 21(일)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5 고려불화 속의 고려 얼굴들

관경십육관 변상도l 224.2 x 139.1cm l 일본 지온인 소장

같이 사는 사람은 닮는다고 한다. 거울 효과라고 해야 할까. 눈앞에 두고 자주 보면 익숙해지고 저절로 친근한 감정이 들게 마련이다. 눈만 그런 것이 아니다. 눈에 이어 손도 따라가는 법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대화가 미켈란젤로가 대성당의 천정화를 그리면서 교황의 얼굴을 그려 넣은 것은 단순한 배려나 정치적 고려 때문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중국에서 대규모 석굴로 용문 석굴이 조성됐을 때에도 장인들은 당시 탁발씨의 효문제의 얼굴을 새겨 넣었다고 했다.

고려불화의 여러 특징중 하나는 대개의 불화가 왕실을 비롯한 지배층의 발원에 의해서 그려졌다는 사실이다. 왕실 주문에 불화를 그린 화사(畵師)은 개성의 고려 궁궐에 있었을 내불전을 드나들며 작업했을 것이다. 궁궐이란 왕과 왕비 그리고 이들의 시중을 드는 잘 생긴 궁인과 아름다운 궁녀들이 사는 곳이 아닌가.

고려불화는 종교 회화에 속하므로 일반 회화와는 달리 도상적 규범을 지켜야 한다. 규범이란 어느 것이나 규정적이고 딱딱하며 원칙적이다. 불화의 경우 대대로 전해지는 화본에 따라 형태 배치, 채색 구성이 준수돼야 한다. 여러 점의 수월관음도가 대개 비슷한 도상에, 유사한 채색으로 된 것을 이를 말해준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관경십육관 변상도, 부분(제14관)
극락에 연화화생한 중생이 화면 가운데
등을 돌리고 앉아 아미타삼존을

향해 있다.


하지만 수십점에 이르는 수월관음도 가운데 꼭 같은 것을 어디 한 점이라도 찾아볼 수 있는가. 엄격한 규범이라 할지라도 작은 자유나 재량 정도는 어디에나 있게 마련이다. 그런 점에서 고려불화에는 당시 궁궐의 주인, 아니면 그 주변의 아름다운 궁녀, 궁인들의 모습을 듯한 인물 그림을 만나게 된다.

『관무량수경』은 극락 정토에 왕생하기 위해서는 수행자가 16가지 관을 거쳐야 한다고 설하는데 이것을 그림으로 보여준 것이 《관경십육관 변상도》이다. 여기에는 보화와 보배로 치장된 극락의 모습이 호화로운 궁전으로 묘사돼 있다. 또 각각의 수행관에는 왕생자를 맞이하는 보살들이 있다. 바로 이 장면에서 화사들은 현실속에서 낯이 익은 얼굴을 반드시 그려 넣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싶다.

관경십육관 변상도, 부분ㅕㅕㅕ7ㅕ
관경십육관 변상도, 부분7777777

예를 들어《관경십육관 변상도》을 보자. 제12관 「보관상관(普觀想觀)」은 극락왕생을 바라는 사람이 자신이 정토에 나는 것을 관찰하는 관이다. 또 제14관 「상배생상관(上輩生想觀)」, 제15관「중배생상관(中輩生想觀)」, 제16관 「하배생상관(下輩生想觀)」은 각각 아미타불과 보살들이 생전의 업에 따라 상품상생(上品上生), 상품중생(上品中生), 상품하생(上品下生)할 왕생자를 맞이하러오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논리적으로 생각해봐도 왕생을 바란다면 그 사람은 현실 속의 살아있는 사람이어야만 한다. 왕생 기원으로 불화를 주문하고 또 그 주문에 따라 불화를 그리게 된 화사는 정녕 이들을 닮게 그렸을 것이다. 그래야만 맡겨진 직분을 다한 것이 될 것이다. 아무튼 《관경십육관 변상도》에는 아름다운 꽃 사이로 진귀한 새들이 지저귀고 있던 개성 궁궐속의 왕족, 귀족이었을 것이라고 여겨지는 얼굴들이 있다.

《미륵하생경 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 부분

또 다른《미륵하생경 변상도》에도 고려 미녀인듯한 인물이 등장한다. 이 그림 왼쪽에는 이마와 콧등을 따라 하얀 분을 바른 세 명의 여인이 한 사람은 두 손 모아 합장을 하고 다른 두 사람은 각각 주전자와 비단이 든 상자를 떠받치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그 앞에는 미륵불에 귀의하고 머리깎는 왕족의 모습이다. 또 앞쪽으로 다소 늙어 보이지만 기품에 가득한 여인이 두 손을 접시 하나를 공손히 받쳐 들고 있다. 이 여인들이 아마도 개성 고려궁전에서 왕과 왕비의 시중을 들던 궁녀들이 틀림없다고 믿고 싶다.

이번 고려불화전은 전시 준비기간의 촉박 때문인지 아니면 대여쪽의 의견 존종 때문인지 도록의 사진은 썩 좋지 않다. 새로 잘 찍은 사진들이 아니다. 전시장용 전문 루페가 없는 관람객은 디테일 즐길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도록 사진인데 아쉽기만 하다. 하지만 꼼꼼히 살피면서 관람하면 여러 곳에서 당시 불화를 주문하며 왕생을 기원했던 고려 시대의 신심 가득한 선량한 얼굴들을 만나보는 일은 전혀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다.

글/사진 스마트K
업데이트 2024.11.21 16:41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