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빛의 과학을 통해 거둔 결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 3045      
-첨단 영상진단 기기를 활용하는 보존 과학의 현주소

전시명 :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장 소 :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내 특별전시실
기 간 : 2020.08.25~2021.2.14
글 : 김진녕

국립중앙박물관의 특별전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전시가 내년 2월 14일까지 연장됐다.


특별전은 제1부 '보이는 빛, 문화재의 색이 되다', 제2부 '보이지 않는 빛,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제3부 '빛, 문화재를 진찰하다'로 구성된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토기> 등 국가지정문화재 10점을 비롯해 일반에 처음 공개되는 경복궁 교태전 부벽화와 삼국시대 금귀걸이, 고려청자와 조선백자의 예 등 총 57건 67점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유물의 연구와 보존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첨단 영상진단 기기를 이용한 연구 성과를 집약한 것이다. 물리적인 유물 연구의 최전선이 전시장에 나온 셈으로, 맨 눈에는 보이지 않던 유물의 ‘속사정’이 병원의 진단 의학에서 쓰이는 컴퓨터 단층촬영기(CT)나 X선 촬영 등을 통해 드러났다. 유물 분석에 가시광선, 적외선, 자외선, X선 등 다양한 빛이 활용됐기에 ‘빛의 과학’이란 이름이 붙은 전시이기도 하다.




연구 성과는 사진과 차트와 리포트로 간단하게 접할 수도 있지만, 전시에선 연구 과정을 관람객이 간접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미디어가 동원됐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현미경(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를 경험)이나 차트(비격진천뢰 등 문화재의 정보를 그래픽으로 만남), 적외선과 엑스선으로 본 교태전 부벽화 돋보기 테이블 등 ‘경험’이라는 측면을 고려한 전시 기법이 강조됐고 개막 이후 관람객의 관심도 이런 코너에 쏠리고 있다고 한다.


제1부에서는 현미경 등을 통한 연구 성과가 소개된다. 비잔벌레와 앵무조개, 전복껍질이 등장한다.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리구슬', 경주 황남대총 남분에서 나온 '유리 잔'과 '앵무조개로 만든 잔', 비단벌레로 만든 경주 금관총 출토 '금동 말안장 가리개', 전복껍질을 두께 0.3㎜로 가공해 장식한 '고려나전향상'(香箱, 향을 담은 상자), 오방색 활옷, 국보 제89호 금제 허리띠 고리 등이 그것이다.


제2부에서는 적외선, 자외선, X선으로 조사한 문화재를 보여준다. 경주 안압지 출토 항아리와 함께 발견된 목간을 적외선으로 촬영해 '加火魚(가화어)'란 글씨가 있음을 확인했고, 이를 통해 젓갈 재료로 가오리가 사용됐다는 것까지 알아낼 수 있었다는 성과. 또 부여 쌍북리에서 발견된 백제 시대 목간에는 구구단이, 김해 봉황동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시대 목간에는 논어의 공야장이 기록돼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국보 제91호 기마인물형토기도 X선을 이용하는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내부 구조를 확인한 경우다. 국보 제95호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 '금강산모양 연적'과 '계영배' 등의 내부 구조도 X선을 통해 속내를 드러냈다.


제3부는 여러 빛을 이용해 문화재의 보존 상태를 점검한 성과가 전시됐다. 근 1500여 년 전에 그려진 고구려 쌍영총 고분 벽화가 적외선 촬영으로 우차(牛車) 2대와 개마무사(고구려 기병), 남녀 인물 30여 명이 모습을 드러냈다. '경복궁 교태전 부벽화(종이에 그린 그림)' 2점도 적외선 분석 등을 통해 밑그림과 사용 안료가 확인됐다.


전시장 관람 동선 마지막 부분에 모여있는 크고 작은 반가사유상은 특별전 내 ‘반가사유상 기획전’이라고 볼 수도 있다.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과 보물 제331호 금동반가사유상 등 불상 7점이 모여 있다. 컴퓨터 단층촬영, X선 조사, 성분 조사로 밝혀진 불상의 제작 방법, 내부 구조와 상태 등을 엿볼 수 있다.


이번 전시의 또다른 특징은 역병의 유행으로 수시로 물리적인 전시장 접근이 차단될 수 있음을 고려해서인지 온라인 접근 경로를 다양하게 열어놨다는 점이다. 전시를 보고자 하는 이는 전시장을 찾지 않아도 국립중앙박물관이 올려놓은 열 편의 동영상을 유튜브에서 관람할 수 있다. 백신이 보급되기 전까지는 코로나로 인해 언제든 박물관이 다시 잠길 수 있다. 그때를 대비한 비상접근로이기도 하다.


온라인 전시(영상) 내용

1. 삼국시대 금귀걸이로 알아보는 누금기법
2. 고려청자의 속을 들여다보다
3. 쌍영총 고분벽화
4.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검진하는 날
5. 현미경으로 보는 금제 허리띠 고리
6. 조선시대 연적의 내부 구조와 물길
7. 경복궁 교태전 부벽화를 보다
8. 절제의 미덕 계영배와 사이펀의 원리
9. 빛의 과학, 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과학쿠키 이효종과 함께
10. 보존과학에서 활용한 ‘빛’의 종류는 무엇일까요?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HwcOk-ZIhVM_sqMWv4VcG0CyUPjTRTKB

글/사진 김진녕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2 19:53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