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120년 전 그 시간으로 돌아간다면 <덕수궁 야외프로젝트 : 빛․소리․풍경>
  • 3076      

전시명 : 덕수궁 야외프로젝트 : 빛․소리․풍경
장 소 : 덕수궁
기 간 : 2017. 9. 1(금)~2017. 11. 26(일)

사방을 둘러봐도 현대적 고층건물이 눈에 걸리는, 도심 속 궁궐 덕수궁에 다시 한 번 현대미술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덕수궁 야외프로젝트 : 빛․소리․풍경> 전은 지난 2012년 <덕수궁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현대미술 공동 설치작업을 발전시킨 2017 버전이자, 덕수궁이 지닌 가장 무거운 역사, ‘대한제국’ 선포 120주년을 맞아 진행되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기념적 전시이다. 대한제국의 선포를 기념하는 전시와 덕수궁이라는 장소는 아주 적절해 보였다. 

총 6개의 지점에 9명의 작가의 작품이 이어져있다. 


장민승x양방언, 온돌야화, 2017


첫 번째는 중화전으로 이어지는 입구 옆 행각. 여기에는 가구디자이너이자 설치미술가이자 황신혜밴드 멤버였던 장민승과 재일교포2세 음악가인 양방언의 <온돌야화(溫突夜話)>가 소개된다. 장민승의 근대 서울 풍경 사진 슬라이드가 진행되는 동안 기계음과 파도소리 등으로 구성된 양방언의 사운드가 흘러나오는 설치 작품으로, 외부는 거울면이지만 슬라이드가 상영되는 내부는 어둡게 만든 공간 설치로, 서울의 현재 모습과 당시를 비교하며 상상하도록 한다. 


김진희, 딥다운-부용, 2017


공사중인 미술관 건물을 지나 석조전의 서쪽 계단을 오르면 두 번째 김진희 작가의 <딥 다운-부용>을 마주하게 된다. 뭔가 그물같은 것이 드리워져 있는 건가 하고 다가가보면 전자부품들이 연결되어 있고, 그 중 작은 스피커 부품에서는 우연히 잡힌 전파에서 흘러나오는 소리 같은 음성, 바람소리, 빗소리, 부스럭거리는 소리 등이 흘러나온다. 덕수궁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존재했던 일들이 바람처럼 떠돌다가 붙잡혀 사람들에게 드러나듯이. 분절적이고 불분명하다. 


정연두, 프리즘 효과, 2017


서쪽계단과 연결되어 있는 외부 사각 기둥이 정연두 작가의 포스트로, 이 기둥의 네 면에는 각각 인물 크기의 사진 작품 <프리즘 효과>가 설치되어 있다. 고종황제와 덕혜옹주를 연출한 사진으로 정면, 좌측면, 후면, 우측면에 90도의 시각차 외에 각기 다른 역사적 해석을 담았다. 

네 번째, 다섯 번째, 여섯 번째 포스트는 석어당, 덕흥전, 함녕전, 함녕전 옆 행각 내부에 설치된 작품들이다. 덕흥전에 있는 <책가도389>는 조선후기 책가도에 착안하여 개인의 책장을 촬영하는 작업을 지속해 온 임수식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덕흥전으로 들어오면서 특별히 병풍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 병풍 속의 책장은 한국 근대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서재를 촬영하고 재구성한 것이다. 근대 역사의 공간 속에, 근대를 기록한 책들을 기록한 사진을 담은 책가도 병풍이 놓여져 있다.  


임수식, 책가도389, 2017


고종황제의 침전이며 승하한 장소이기도 한 함녕전 방 벽에는 이진준의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 불면증 & 불꽃놀이>가 비춰지고 있다. 구한말 일제의 강압 속에서 불면증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보냈던 고종황제의 심경을 이미지와 사운드로 표현한 영상 작품인데, 건물 내부로 들어갈 수 없어 프로젝션이 잘 눈에 띄지 않았다. 이밖에 평소에는 굳게 닫혀있는 함녕전 옆 궁녀들이 살던 행각에는 오재우의 VR 작품 <몽중몽(夢中夢)>이 소개되고 있다. 
 


이진준, 어디에나 있는 하지만 어디에도 없는 시리즈 - 불면증 & 불꽃놀이, 2017


모든 시각예술의 감상이 배경의 맥락에서 자유롭지 못하지만, 특히 덕수궁의 공간적 배경과 대한제국이라는 시간적 배경은 작품의 해석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이 있었다. 그러나 결국 역사의 무게에 짓눌리기에는 날씨도 너무 좋고, 가을 햇볕이 너무 강해서 사진이든 영상이든 몰입이 쉽지 않았다. 오히려 양적으로나 분위기로나 작품이 환경을 압도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싶어 아쉬움이 컸다.   

궁금한 점을 추가한다면, 전시 제목은 왜 “빛, 소리, 풍경”이라는 밋밋한 단어들로 제시했을까하는 것이다. 역사의 무게를 담은 제목이었으면 더 좋았겠다 싶다.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0.31 15:43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