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흐릿하고 안타까운 이미지 속의 기억 - <여주경展>
  • 3755      

전 시 명 : 여주경 전
전시기간 : 2015.10.1.-10.10
전시장소 : 서울 담갤러리
글 : 박영택 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삶은 촘촘한, 그러나 너무도 모호한 기억/상처로 수놓아져 있다. 산다는 것은 지난 기억을 갉아먹으며 나가는 일이고 기억에 기생하는 일이다. 우리들 모두는 각자 저마다의 완고하고 비밀스러운 기억을 고치처럼 두르고 산다. 그것들은 대개 불투명한 잔상으로 남아있다. 

여주경의 흐릿하고 안타까운 이미지와 색채는 기억으로 인도되는 징검다리와도 같다. 그것은 보는 이로 하여금 자신의 기억과 경험에 의존해 그 이미지를 독해하도록 권유한다. 그 이미지는 마치 흐릿하고 애매한 기억의 형태와 매우 유사하다. 흐릿한 이미지는 직접적이고 선명한 윤곽과 형상을 지우고 다양한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생각할 수 있는 공간을 허용한다. 

뚜렷한 이미지는 보는 사람의 사고를 제한하는 데 반해 이 흐릿한 이미지, 휘발된 듯한 색채는 생각에 잠기게 유도하는 편이다. 그것은 하나의 단일한 의미만을 가지는 방식으로 제안하는 것에 반대하면서 관자의 마음속에 다양한 의미작용을 유발시키는 ‘흔적’을 남겨준다. 그로인해 이 그림은 불확정적인 상황을 경험하게 한다. 


여주경, 장지에 채색, 59x35cm, 2015


여주경은 도시공간에서의 삶을 살아가면서 그 생활의 단면을 포착하고자 한다. 그것은 본능적인 응시와 기록의 욕망이기도 하다. 작가는 먼발치에서 건물과 벤치, 나무를 응시한다. 이 거리감은 작가의 심적 거리를 반영한다. 환한 햇살에 의해 밝게 다가오는 장면은 기이하게 환각적이며 그 아래 드리워진 그림자 역시 비현실감을 고취시킨다. 전체적으로 희박한 색채는 몽환적인 분위기를 강화하는 편이다. 

그곳에 자신의 초상 또한 서늘하게 직립해 있다.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고 부유하는 고독하고 낯선 존재의 몸짓이 어른거린다. 작가에게 그림이란 도시란 특정 공간에서의 삶에서 파생된 내면심리와 인간관계, 타인에 대한 기억과 응시의 대한 응답이기도 하다. 도시 공간과 그 안의 사물들을 담아내는 것은 작가에게 문득 다가온 현실의 모습이자 자신을 흡입해내는 소재이기에 그렇다. 한편 그 장면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었다. 그리고 이를 기록, 재현하는 것은 삶을 돌아보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자기 응시의 한 방편이 된다. 


여주경, 147x92cm, 장지에 채색, 2015

본다는 행위는 헤아릴 수 없는, 형언하기 어려운 복잡한 감정, 기억 등을 동반한다. 작가는 자신의 신체가 받아들인 그 지각, 감각을 형상화하고자 그린다. 응시한다는 것은 모종의 욕망이기도 하다. 그 욕망은 사물의 이면을 보고자 하는 것이자 시선이 도달할 수 없는 곳까지 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욕망은 충족되거나 실현되기 어렵다. 

어쩌면 미술은 그러한 불가능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일이다. 이를 통해 익숙하지만 알 수 없는 주변의 사물, 타자를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법을 배운다. 그것은 동시에 불가해한 자신의 내면을 찬찬히 들여다보고자 하는 욕망과 포개어진다. 

작가는 자신을 둘러싼 외부세계를 관습이 아닌 그것 자체로 생생하게 접촉할 때 생기는 생소함을 그리고자 한다. 더불어 그로인해 파생된 감정, 모호하고 애매한 정서를 가시화하고자 한다. 그것은 결국 자신의 본질이 보고야 만 풍경이다. 좋은 작가는 철저히 자신의 내부로 본 것을 그리는 이다. 그래서 그림은 한 작가의 인식, 감정, 마음의 결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하다. 그러니 그림은 바로 그것을 그리는 것, 보여주는 것이다. 그 누구도 아닌 그 사람만의 정서와 분위기 말이다.(*)

글/사진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22 01:24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