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은정(미술평론가)
광주비엔날레 20주년의 문을 여는 전시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시작되었다. 공식명칭은 ‘광주비엔날레20주년기념 특별프로젝트 달콤한 이슬: Sweet Dew’이다.
“풀잎 끝에 달려 있는 작은 이슬방울들, 무엇이 이 숲속에서 우리를 데려갈까”
전시가 열리는 중외공원 곳곳에 걸린 현수막에서 <달콤한 이슬>이란 글자가 눈에 들어오는 순간 흥얼거리게 되는 노래. 노래가 힘이 되고 노래가 우리 모두 함께임을 일러주던 시절이 있었음을 기억해낸다. “달콤한 이슬은 참이슬”이란 장난스런 말이 나올 수도 있는 전시명이건만, ‘1980년 그 후’의 미술을 보여주는 야심찬 전시의 시작은 결코 달콤하지 못하였다. 그도 그럴 것이 광주비엔날레특별전이라는 전시에 대해 대중에게 홍보가 가 닿기도 전에 홍성담 작가의 대형 걸개그림이 수정요구를 받았다는 기사에서부터 시작된 전시가 아니던가. 전시장에 들어서야 ‘달콤한 이슬’이 감로(甘露)임을 알았다. 1전시실 정면에 <수도사 감로탱>이 걸려 있고 이를 중심으로 나눔의 집 할머니들의 작품이 전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전시장은 크게 광주시립미술관 전관과 야외를 이용하였고 밤샘 퍼포먼스에 이르기까지 안과밖, 낮과 밤을 아우르는 입체적인 전시의 형태를 띠고 있다. 전시장 밖에는 최병수의 솟대 설치작품 <감로수>와 타오 G. 브로백 삼볼렉의 가 있지만 유기적 관계나 맥락으로 이해되지는 않는 것은 어수선한 중외공원에 기존의 설치작품과 구분할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전시장 입구 1층에 광주시립미술관 소장 이이남의 <변용된 달항아리>는 사계의 아름다움과 나비의 황홀한 군무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는데, 이번 전시에는 <침묵-달항아리>로 이름도 바뀌고 붉은 나비가 산산이 부서져 꽃잎처럼 흩날리는 처연한 동영상으로 옷을 갈아입었다. 아름답게 유영하던 나비가 처참한 핏빛으로 남은 조선백자, 달항아리 1980년의 상처를 그대로 안고 있는, 이곳이 ‘광주’임을 알려준다.
2층의 3, 4전시실은 이번 전시의 의미를 드러내는 작품들을 보여주는 동시에 미술사적 흥미를 만족시켜주는 공간이다. 중국에서 대여를 요청하였으나 계속 상부 결재가 나지 않아 결국 중국의 큐레이터가 작품들을 자신의 가방 안에 넣어와 이곳에서 액자를 끼워 걸었다는 루쉰 판화운동의 결과물들은 80년대 한국의 판화운동이 모법으로 삼았던 그 작품들을 만나게 하였다. 민중에게 진실을 전하는 가장 효과적안 방법, 글자가 아닌 조형언어로 대중에게 말을 거는 방식의 기초훈련과정을 유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는 중에 민중의 단결과 힘을 인지하게 되었으리라는 것은 이 판화의 많은 부분이 연대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20세기 초기의 노동운동을 보여주는 벤샨의 <노동자에게 예장접종을 하는 의사>는 흑백 이미지들 속에서 눈길을 끈다. 케테 콜비츠의 자화상을 비롯한 어머니들, 죽어가는 아이를 안은 어머니 같은 그의 주옥같은 화면들은 일본 사카나미술관의 소장품들이다. 전시장에서 만난 사카나미술관장은 이 전시에 작품을 보여주어 매우 기쁘며, 오키나와의 미술가 작품을 보여주며 자랑스러워 하였다. 제국주의와 맞서는 오키나와의 우리나라 혹은 광주와의 동질성에 감격스러워함이 분명하였다. 킨죠 미노루, 오우라 노부유키의 거칠지만 강한 힘이 웅변적인 작품들은 그의 긍지를 증명해주었다. 인도작가 아마르 칸와르의는 아마도 이번 전시에서 가장 세련된 공간을 창조한 작품일 것이다. 철제 프레임에 아슬아슬하게 걸린 종이에 프로젝션된 화면들은 수없이 변화하며 공통의 식민 경험이 우리 삶을 어떻게 조율하였나에 대해 생각하게 만들었다.
20세기 초기의 노동운동을 보여주는 벤샨의 <노동자에게 예장접종을 하는 의사>는 흑백 이미지들 속에서 눈길을 끈다. 케테 콜비츠의 자화상을 비롯한 어머니들, 죽어가는 아이를 안은 어머니 같은 그의 주옥같은 화면들은 일본 사카나미술관의 소장품들이다. 전시장에서 만난 사카나미술관장은 이 전시에 작품을 보여주어 매우 기쁘며, 오키나와의 미술가 작품을 보여주며 자랑스러워 하였다. 제국주의와 맞서는 오키나와의 우리나라 혹은 광주와의 동질성에 감격스러워함이 분명하였다. 킨죠 미노루, 오우라 노부유키의 거칠지만 강한 힘이 웅변적인 작품들은 그의 긍지를 증명해주었다. 인도작가 아마르 칸와르의
케테 콜비츠 <자화상>
아마르 칸와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