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 [이화 창립 128주년 특별기획전] 이상과 미술 - 동아시아 미술 속의 이상주의
장소 :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기간 : 2014.5.14-2014.7.31
작자미상, 왕회도병풍 王會圖屛風, 조선 19세기, 비단에 채색, 167×380cm
황제가 각국의 사신들로부터 조공을 받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이러한 그림은 당나라 629년 중서시랑 안사고(顔師古)가 당태종에게 제안한데서 시작되었으며, 『일주서(逸周書)』의 「왕회편(王會篇)」에 근거하였기에 <왕회도>라고 불렀다. 조선은 대한제국이라는 황제국을 성립했으나 외국으로부터 조공을 받은 적이 없었기에, 이 그림은 중국의 경우에 의거하여 국가의 번영을 꿈꾼 가상의 현실을 그린 것으로 해석된다.
작자미상, 일월오봉도 육곡병풍 日月五峰圖六曲屛風, 조선 19세기, 비단에 채색, 155.3×349cm, 삼성미술관 Leeum
해와 달, 다섯 개의 산봉우리, 소나무와 물을 그린 <일월오봉도>병풍은 왕조의 영원한 번성과 태평성대에 대한 군주의 염원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각 도상들의 도식적인 배치와 청록의 색채를 통해 그림에 내포된 보수성과 전통성을 느낄 수 있다.
작자미상, 성균관친림강론도 成均館親臨講論圖, 조선 19세기, 종이에 채색, 49x111.4cm, 고려대학교 박물관
이 그림은 내용에 대한 기록은 없지만, 다른 기록화와의 비교를 통해 왕이 성균관 대성전에 행차하여 알성예(謁聖禮)를 행한 뒤 경서에 대한 강의와 문답을 실시하는 광경을 그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왕은 성균관 유생들에게 직접 경서의 내용을 물어보거나, 강서관(講書官)으로 하여금 경서를 강론하게 하는 일이 많았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유생들에게 학문적 성취를 유도하고 유교적 예를 구현하고자 했던 군주의 노력이 엿보인다.
청화백자 송죽인물문호 靑畵白磁松竹人物文壺, 조선 16세기, H. 47cm, 보물 644호,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이 매병은 16세기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문인들과 시동이 소나무와 대나무 아래에서 서안 위에 문방구를 펼쳐 놓고 한가로운 시간을 보내는 장면을 청화 안료로 그린 작품이다. 자연 속에서 은일 생활을 추구하였던 선비의 이상을 엿볼 수 있다.
조세걸 曺世杰, 고산방학도 孤山放鶴圖, 조선 17세기, 종이에 담채, 40.2x30.4cm,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매화를 부인으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아 평생을 고결하게 살았다는 북송대 인물인 임포林逋가 주인공인 작품이다. 임포는 독학하여 학문을 이룬 뒤 항주 서호西湖의 고산孤山에 들어가 은거하며 시를 지으며 살았는데, 그의 청아한 삶은 당시 학자들에게 높이 칭송되었다. 이 작품은 임포가 학을 놓아주는 장면을 그린 것으로 학을 사랑하여 자연으로 돌려보내는 선비의 자비를 보여준다.
아미타설법도 阿彌陀說法圖, 조선후기, 비단에 채색, 173x192cm,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가 주재하는 서방 극락정토는 청정한 불국토로, 일체의 괴로움이 없고 즐거움만을 느낄 수 있는 극락세계를 이른다. <아미타설법도>는 아미타여래가 서방정토에서 무량한 설법을 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으로, 중앙의 아미타여래와 협시보살인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여러 보살들과 제자들이 둘러싸고 있으며 화면 양쪽 아래에는 사천왕이 위치하였다.
십장생도병풍 十長生圖屛風, 조선 19세기 말-20세기 초, 비단에 채색, 166x416cm, 김일환 기증
십장생도는 왕실에서 정초의 행사 또는 여러 의식에 사용하며 하사하기도 한 장식화이다. 이 병풍은 궁중 화원이 불로장생을 상징하는 열매와 동물들인 해, 물, 돌, 산, 구름, 소나무, 거북, 학, 사슴이 가득한 선계仙界를 진한 채색으로 완성한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