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유물을 통해 도교와 마주하다 - <한국의 도교문화>
  • 6695      

기간: 2013년 12월 10일 - 2014년 3월 2일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에 들어서면 어디로 발길을 옮기든 유물들을 볼 수 있기에 상설전시인지 특별 전시인지는 그리 중요치 않다. 그럼에도 특별전시임을 염두하고 봐야하는 이유는 전시의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 또한 무료관람이기에 특별 전시인지 상설전시인지 머릿속으로 나누어 지지 않지만 “도교”라는 주제를 가지고 기획된 전시인 만큼 다양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현세기복 종교라 할 수 있는 도교가 우리나라에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인데 도교문화에는 전통신앙은 물론 당대 유행했던 사상이나 유교, 불교사상까지 있어 유물을 통해 도교문화적 요소를 변별해 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전시되어 있는 유물의 다양성에 눈이 즐거우면서도 각 유물이 도교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궁금증을 갖게 한다.
 


백제금동대향로 (국보 제287호)

이번 전시에서 볼 수 있는 백제금동대향로의 경우 불교 관련 유물이기도 하고 이를 보여주듯 불교적인 모티프인 연꽃이 장식되어있지만 뚜껑에 표현된 모습은 짐승과 사람들이 신선세계에 있는 듯한 광경이며 신선들이 산다는 신산을 표현한 박산향로의 전통을 계승한 작품이다. 도가 내지 도교적 신선사상이 표현된 것이다.    
 

김홍도, <군선도>



이정, <수노인도>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고 있는 도석인물화는 신들이 가진 능력이나 지물을 통해 분별해보는 재미가 솔솔하다. 하선고와 영지버섯을 단 남채화, 흰 당나귀를 거꾸로 타고 책을 보는 장과로, 판을 치고 있는 조국구, 대나무 통을 든 한상자, 뿔소를 타고『도덕경』을 든 노자, 천도복숭아를 든 동방삭, 걸어 다니면서도 글을 쓰는 문창, 머리를 깎은 종리권, 두건을 쓴 여동빈, 호리병을 든 이철괴 등 김홍도의 작품을 통해 보는 팔선(八仙)과,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수노인, 두꺼비를 탄 신선 유해섬, 돌에게 소리쳐 양이 되게 했다는 황초평 등 영원히 죽지도 늙지도 않는 신선들은 삶은 예나 지금이나 선망의 대상이다.

 

        

복숭아 모양 연적

 

동방삭이 들고 있는 복숭아는 서왕모의 과수원에서 3000년에 한번 열린다고 하여 영지버섯과 함께 장수를 의미하는 대표적인 상징물이며 복숭아나무 또한 귀신 쫓는 신력을 지닌 것으로 간주되었다고 한다. 그렇기에 복숭아는 이번 전시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모티프이며 이와더불어 서왕모 관련 유물도 다양하다.
 

 
일월오봉도
 

장수의 상징은 왕실에서도 동일했음을 알 수 있는데 왕이 앉아 있어야만 비로소 그림이 완성된다고 하는 일월오봉도의 뒷면인 해반도도에도 복숭아와 영지, 대나무를 그려 왕의 장수를 염원했다. 이 작품은 양면이 회화인 유일한 궁중 장식화이다.


무령왕릉출토 동물무늬 거울 (국보 제161호)

그런가하면 알고서 봐야 이해가되는 유물도 있는데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동물무늬 거울이 그러하다. 도교에서는 요괴임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얼굴을 비춰 확인하거나 발뒤꿈치를 비춰 인식했다고 하는데 왕의 경우 얼굴 쪽과 발쪽에서 두 점이 출토되어 두 가지 식별법 모두 동원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두꺼비와 토끼무늬 수막새

동화 속 이야기인줄만 알았던 토끼가 방아 찧는 장면은 유물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신화에 따르면 토끼는 서왕모를 위해 달에서 불사의 약을 찧었고 두꺼비는 서왕모가 자신의 남편에게 내린 불사약을 훔쳐먹고 달 속의 궁전에서 토끼와 살았다고 한다. 잘라도 계속 자라는 계수나무와 토끼와 두꺼비 모두 불로불사를 상징한다.



<관우도>

이 밖에 장수였으나 훗날 재물신으로 모셔진 관우 관련유물, 유․불․도의 요소들이 모두 담겨있는 유물 등 무궁무진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도교가 하나의 종교로 정착하진 못했지만 로또당첨의 꿈과 같이 한 순간에 상황을 바꿀 수없던 시절, 그저 불로장생과 수복강녕만을 바랐던 소박한 옛 사람들에게는 도교문화가 담긴 예술품은 크나큰 의지이자 표출되는 하나의 방법이었음을 알 수있다. 유물을 통해 도교의 흔적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살펴보고 전시관람 후 마련된 소원의 벽에 바람하나쯤 남기며 새해 소원을 바라보는것도 좋을듯 하다.    

글/사진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3 19:29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