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셀프 포트레이트에 담긴 시대의 고뇌 -<표암 강세황 탄신300주년 기념특별전 >
  • 8480      

전시제목 : 표암 강세황 탄신300주년 기념특별전
전시기간 : 2013.6.25-2013.8.25
전시장소 :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8세기 문인화가 표암 강세황(豹菴 姜世晃1713-1791)의 또 다른 얼굴은 셀프 포트레이트의 마니아였다. 300년 전에 태어난 표암이지만 그는 요즘의 셀카 유행처럼 자기 얼굴에 관심이 많았다. 당시는 자기 얼굴이든 남의 얼굴이든 초상화를 그리는 일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셀프 포트레이트, 즉 자화상(自畵像)을 4점이나 그렸다. 그리고 다른 화가를 시켜 그리게 한 초상화도 4점이나 남겼다.



<자화상(自畵像)> 1782년 70살 견본채색 88.7x51.0cm 진주강씨 백각공파 종친회 국박 기탁

이렇게 많은 자화상, 초상화를 남긴 사람은 조선시대 전체를 봐도 극히 드물다. 그는 왜 그토록 자화상과 초상화에 집착했는가. 그의 탄생 300주년을 맞아 열린 이번 특별전은 2003년 겨울 서울 서예박물관 전시 이래 최대 규모이다. 그동안 사진으로만 알려졌던 주요 작품이 총망라됐다는 점에서 흔치 않은 안복(眼福)을 누릴 수 있는 기회이다.


이명기 <강세황 초상> 1783년 71살 견본채색 145.5x94.0cm 진중강씨 백각공파 종친회 국박기탁
 

물론 여기에는 그의 자화상은 물론 동시대 화가가 그린 초상화도 등장한다. 이들 자화상과 초상화 속에서 그는 형형한 눈빛으로 그림 밖 세상을 응시하고 있다. 외부로 향한 그 시선은 바로 18세기 거의 전부를 살아갔던 한 문인화가 표암의 회화 세계를 이해해줄 수 있는 열쇠가 되기도 한다. 


<현정승집도(玄亭勝集圖)> 1747년 35살 지본수묵 34.9x212.3cm (부분) 개인소장
이해 여름에 복날을 지내며 그린 그림으로 가장 왼쪽에 앉아 있는 사람이 표암이다.
 

18세기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세계사가 새롭게 전개되기 시작한 시대였다. 지리상의 발견 이후 세계는 18세기 들면서 동서(東西)가 하나의 역사로서 굴러가고 있었다. 조선도 이런 세계를 의식하고 있었다. 중국은 과거의 중국이 아니라 이민족의 청(淸)으로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됐다. 그 속에서 ‘나는 누구인가’ 하는 자주적 정신이 싹트게 됐다. 그림에서 이는 사실주의 경향의 진경산수와 실경산수를 낳게 한 원동력이 됐다. 


<죽서루> 《풍악장유첩(楓嶽壯遊帖)》 중 한 점. 1788년 76살 지본수묵 35.0x25.7cm 국립중앙박물관.
이해 9월에 금강산을 유람하면서 그린 화첩이 《풍악장유첩》이다.


또 이민족의 청과는 별개로 세계의 중심으로서의 중국을 보는 눈도 생겼다. 그래서 세계 문화의 중심에 대한 갈망을 커지면서 중국의 새로운 사조인 남종 문인화와 그림 감상의 저변화를 적극 받아들인 시대였다. 표암은 이런 18세기를 살면서 이 두 경향을 모두 의식하고 있었다.


<초당한거도(草堂閑居圖)> 《첨재화보(添齋畵譜)》중 한 점. 1748년 36살 지본담채 18.7x22.2cm 개인소장
 

실제 그의 그림은 한 세대 앞선 정선(鄭敾, 호는 겸재(謙齋), 1676-1759)이 이룩해놓은 진경 내지는 실경산수의 세례를 받았다. 젊은 날의 모임을 그린 그림과 기행에 관한 사실적인 그림들은 사실주의적 경향을 담고 있다.


 

<초당한담도(草堂閑談圖)>(왼쪽) <강상조어도(江上釣魚圖)> 1776년~78년 64~66살 지본담채 각 58.0x34.0cm 삼성미술관


반면 그는 당시 세계의 중심에서 새롭게 전개되고 있는 신경향에도 민감했다. 사실주의와는 달리 낭만주의 계열이라고 할만한 남종산수화를 몸소 그려 보이는 것은 물론 주변에 이를 적극 소개한 것이 그였다  


《표옹선생서화첩(豹翁先生書畵帖)》의 한 점. 1789년 77살 지본담채 28.5x18.0cm 일민미술관

그는 평생 이 두 세계 사이를 왕복하고 있었다. 사실주의와 낭만주의는 사실 공존이 불가능한 정신 체계이다. 물과 기름처럼 애초부터 이질적인 두 체계는 18세기의 문인화가 강세황이 만년까지 끌어안고 고민했던 과제이기도 했다. 그는 금강산 여행에서 본 피금정의 경치를 일 년 간격으로 나란히 2점을 그렸다.


<피금정도(披襟亭圖)> 1788년 76살 지본담채 101.0x71.0cm 삼성미술관


<피금정도(披襟亭圖)> 1789년 77살 지본담채 126.7x69.4cm 국립중앙박물관


먼저 하나는 76살 때 겸재가 틀을 잡아놓은 그대로 그린 사실주의 계열의 그림이다. 피금정은 지금은 북한 땅인 금화군 남대천 가에 있는 정자이다. 예부터 금강산 여행객들에게 유명했던 명소였다. 강가 버드나무 사이의 정자와 강 건너 대안의 내금강 모습이 정선 스타일 그대로이다. 
반면 일 년 뒤인 77살 때 그린 피금정은 전혀 다른 모습이다. 우선 그림에 피금정은 보이지 않는다. 다만 지팡이를 짚은 노인이 동자 하나를 데리고 길을 가고 있을 뿐이다. 그 앞으로 높다란 봉우리들이 S자로 연속되며 멀리 바위산들이 아득하게 보인다. 산의 형상을 이상적으로 변형시킨 이런 형식의 남종산수화는 낭만주의 계열이라 할 수 있다.


표암은 이 그림을 그리고 나서 2년 뒤에 세상을 떴다. 이렇게 보면 만년에 이르기까지 그는 사실주의와 낭만주의의 이룰 수 없는 대통합을 꿈꾸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추측해보게 된다. 그리고 피금정이란 실제 경치에 남종산수화를 대입했다는 점에서 사실보다는 낭만에 더 기울었던 화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균와아집도(筠窩雅集圖)> 1763년 51살 지본담채 112.5x59.8cm 국립중앙박물관

전시의 매력은 뭐니뭐니 해도 새로운 볼거리의 출현에 있다. 이 전시에는 당장 국보로 지정되어도 무리가 아닐 새 자료가 나왔다. 표암은 잘 알다시피 심사정(沈師正, 1706-1776)과 가까웠으며 시인이자 화가였던 허필(許佖, 1709-1768)과 절친했다. 또 화가 최북(崔北, 1712-1786)과도 두루 친했고 천재화가 김홍도(金弘道, 1745-1806)는 직접 가르쳤다. 이들은 모두 18세기 화단의 주역들인데 이들이 한 화폭에 그려진 그림이 소개된 것이다.


<균와아집도>의 부분

그림 제일 안쪽에 책상에 기대 거문고를 타는 사람이 표암이며 그 옆의 아이가 김덕형 그리고 탕건만 보이는 사람이 심사정이다. 망건 차림으로 바둑을 두는 사람은 최북이며 담뱃대를 문 바둑 상대는 추계이다.(추계는 미상) 그리고 이들 옆에서 구경하는 사람은 표암의 절친한 친구였던 허필이다. 앞쪽에 안석에 비스듬히 기대있는 사람은 균와(미상)이며 그 옆에서 퉁소를 부는 소년이 바로 김홍도이다. 이 그림 속에서 스승과 제자는 거문과와 퉁소 이중주를 연주하고 있는 것이다.


그림이 그려진 때는 1763년이며 표암이 전체의 구도를 잡고 소나무와 돌은 심사정이 그렸고 채색은 최북이 했으며 인물은 김홍도가 그렸다. 당시 표암은 51살이었고 심사정은 58살, 최북은 52살 그리고 김홍도는 19살이었다. 이런 주역들이 한 화면에 그려진 사례는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다. 그런 점에서 당연히 국보가 되고도 남을 만한 신자료이다.(y)  

글 y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9 22:18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