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명: 고찬규 展 장소: 자인제노갤러리 기간: 2012.5.1~5.10
전통을 잇다: 현대 한국미술 |
|
광막한 공간에 홀로 내던져진 듯 인간이 단독으로 위치해있는데 그/그녀는 감정이 응축된 얼굴 표정, 심리를 언어화 한 손짓과 몸짓만으로 무언극을 펼쳐 보이는 듯하다. 그 장면은 심리적인 연출의 극화다. 고찬규는 자신만의 고정 배역을 반복적으로 등장시켜 어떤 감정과 상황을 함축해서 전달한다.
<섬>, 27x70cm, 한지에 과슈, 2012
<봄날은가고...>, 91x73cm, 한지에 과슈, 2012
<바람인형>, 65.1x53, 한지에 과슈, 2012
<바람인형2>, 65.1x53cm, 한지에 과슈, 2012
<뜨거운 안녕>, 35x27cm, 한지에 과슈, 2012
얼굴은 우리 몸에서 전면적으로 드러나는 부분이며 가장 표현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내재한 것을 밖으로 풀어내면서 우리 몸에서 소통의 역할을 가장 잘 해내는 부분이다. 또한 얼굴은 우리의 눈에 보이는 정체성이나 성격을 측정하는 도구가 된다. 다른 사람의 내면을 볼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 얼굴의 표현을 통해 그 사람을 판단하게 된다. 결국 얼굴은 일종의 열려진 창이다. 그런가하면 얼굴은 사회적인 텍스트이자 비명(碑銘)이다. 얼굴은 다른 사람들이 읽도록 드러내는, 개방된 텍스트다. 그런가하면 그 얼굴은 거울이기도 하다.
나는 누군가의 얼굴을 통해 결국 내 얼굴을 들여다보는 것이다. 얼굴 다음으로 주목되는 것은 단호한 평면, 배경이다. 단일한 색채로 깊이 있게 설채된 화면은 채색화만의 맛을 진하게 우려낸다. 단호한 색채로 멈춰진 배경을 뒤로 하고 한 인간이 어떤 몸짓, 얼굴을 하고 있다. 광막하고 고독하고 황량한 느낌이 드는 공간에 쓸쓸하고 안스러운 누군가가 삶에 지친 표정으로 지나가는 것이다.
글: 박영택 교수(경기대학교, 미술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