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한국미술 전시리뷰
  • 공예 전시리뷰
  • 한국미술 도서리뷰
  • 미술계 이야기
  • On View
  • 학술논문 브리핑
타이틀
  • 필신(筆神)들의 해후-<해동서성 김생 1300주년 특별전>
  • 5065      

전 시 명 : 해동서성 김생 1300주년 특별전 장 소 :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기 간 : 2011. 12. 24 ~ 2012. 03. 04


謹賀新年(근하신년), 새해가 밝았다.
언제부터인가 새해 인사말로 근하신년 대신 Happy New Year이 그 자리를 매우고 있으며, 외래어의 사용이 빈번해 지면서 한자의 사용이 줄어들고 서예에 대한 관심 또한 멀어지고 있다. 아직도 서예의 맥을 잇고자 하는 분들이 있지만 젊은 세대에서는 드문 일이며 서예에 관한 전시 또한 많은 편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옛 서예작품에 대한 기대는 서예박물관이라고 지칭되는 기관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그 동안 서예 역사를 한 눈에 살펴보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었는데, 현재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에서는 김생의 작품부터 김생 계승관련 글씨까지 필신(筆神)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은 특별전을 진행중이다. 김생을 필두로 조선 말기에 활동했던 추사 김정희 까지의 필적을 선보이는 이 전시에서 타이틀로 내세워진 김생은 한국서예의 미학 기준을 제시한 통일신라시대의 서예가로‘해동서성(海東書聖)’이라 불리며 한국 서예의 전형을 완성한 서예가로 평가되는 인물이다.


김생(711-?), <이백李白이 지은 '왕우군王右軍'> 『해동명적海東名跡』탁첩, 개인소장

고려의 명문장가 이규보는 저서 『동국이상국집』에서 김생을 중국의 왕희지(王羲之·307∼365)와 함께 ‘신품제일(神品第一)’로 극찬하였으며, 18세기 조선 문인 성대중은 "그 획이 마치 삼만 근의 활을 당겨서 한 발에 가히 수많은 군사를 쓰러뜨릴 것 같다."고 평했다. 이를 확인 할 수 있는 김생의 글씨로 지금까지 전하는 것은 《태자사낭공대사비》원석과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수십 종의 탁본,《대동서법》의 <망려산폭포시>, 《해동명적》의 <송하빈객귀월>, <김생사경첩>, 《전유암산가서》, 《관란정석각》, 《원하첩》, 《백률사석당기[이차돈순교비]》등이 있다.

 
김생(711-?),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 부분, 권웅현소장


김생(711-?),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 탁첩, 박영돈 소장

이중에  뛰어난 유물로 평가되는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는 효공왕과 신덕왕의 스승인 통일신라의 고승 낭송대사 행적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만든 것이다. 낭공대사의 문인인 단목스님은 김생의 해서와 행서 2500여자를 집자하였는데, 집자비는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에서도 흔하지 않기에 주목된다.

 
탄연(1070-1159), <진락공중수청평산문수원기眞樂公重修淸平山文殊院記>, 1130년, 개인소장

이 전시의 전개는 김생이 우리글씨의 전형(典型)을 세운 이래로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활동한 거장들의 작품을 통해 한국 서예의 궤적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어진다.  고려의 귀족적인 아름다움은 글씨에서도 드러나는데 그 중심인물로 탄연을 들 수 있다. 탄연 이전의 초기 고려 서예는 구양계통이 주도하였고 후기에는 왕법 복고의 산물인 원나라의 송설체가 도입되었다.


안평대군(이용, 1418-1453), <7언시>, 개인소장


한호(1543-1605), <검명劒銘> , 1604년, 『한경홍진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호(1543-1605), <도산서원> , 1572년, 도산서원운영위원회 기탁/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송설체는 조선글씨의 토대가 되기도 하였는데, 송설체가 안평대군을 통해 조선화 되었다면 송설체의 연미함을 극복하고자 왕법으로 돌아간 것은 석봉체였다. 이번전시에서는 안평대군과 이용의 <7언시>를 비롯하여 그 동안 어머니는 떡을 썰고 아들은 글씨를 쓴 일화로 유명한 한호(한석봉)가 선조의 어명으로 직접 쓴 도산서원 현판과 서예작품을 통해 석봉체를 볼 수 있어 흥미를 더한다.

 
영조(1697-1776), <칠언절구>, 1772년, 개인소장

 
강세황, <표암유채豹菴遺彩>, 보물 제 1680호, 1790년, 경기도박물관소장

  
김정희(1786-1856), <행초팔곡병行草八曲屛>부분, 개인소장 

이외에도 선조ㆍ영조ㆍ정조의 어필(御筆)과 이황ㆍ송시열 등 도학자(道學者)의 작품, 이인상, 강세황 등 문인화가의 작품, 추사체로 유명한 김정희의 작품을 통해 거장들의 필체를 볼 수 있어 한국서예가 중국서예와 어떻게 같고 다른가를 보는 전시의 목적까지는 달성할 수 없다하더라도 우리 글씨미학의 정신과 대맥을 보는데는 부족함이 없다고 할 수 있다.

황기로(1525-1575), <차운칠언시>, 16세기 중반, 개인소장

어느 전시나 전시의 내용을 다 파악하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기에 못 읽는 글씨투성이라고 해도 해석까지 되어 있는 설명에서는 부족함이 없으나 누구의 글씨인지 정도는 알고 싶은 것이 사람마음인지라 몇몇 설명에서는 조금 더 친절을 베풀어 줬다면..하는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누구의 작품인지 정도의 한자는 읽을 줄 알아야 한다는 마음이 들게끔 한다는 데에서는 한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효과를 발휘하지 않을까 싶다.

2월 15일부터 이에 이어지는 후속전시로 필신들의 맥이 오늘날 어떻게 이어지고 있는지 보여주는 '도를 듣다, 문도(聞道)_김생과 권창륜, 박대성, 1300년의 대화'가 진행될 예정이라고 하니 이번 전시를 통해 서예에 관해 좀 더 깊은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을 듯 하다.

*전시정보
휴관일 : 12.26(월), 1.30(월), 2.27(월)
관람료 : 일반 7천원 / 초중고생 5천원

글/사진 스마트K
업데이트 2024.10.31 08:38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