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파리가 사랑한 동양미술관
  • 최열의 그림읽기
  • 영화 속 미술관
  • 조은정의 세계미술관 산책
  • 미술사 속 숨은 이야기
  • 경성미술지도-1930년대
  • 김영복의 서예이야기: 조선의 글씨
  • 한국미술 명작스크랩
  • 도전! C여사의 한국미술 책읽기
  • 왕릉을 찾아서
  • 시의도-시와 그림
  •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타이틀
  • 눈 쌓인 들판을 나귀 타고 가는 선비
  • 1662      

겸재 정선(1676-1759) <설평기려(눈 쌓인 들에서 나귀를 타다)> 견본채색, 29.2x23.0cm, 간송미술관

눈이 오면 새벽녘 아무도 밟지 않은 눈을 즐기기 위해 단단히 입고 조용히 현관을 나서는 사람들이 있으며, 아이들과 강아지마냥 뛰노는 사람들이 있고, 따뜻하고 편안한 방에 앉아 소복히 쌓이는 눈구경을 하는 스타일의 사람들이 있다. 옛날 선비들도 오는 눈은 감상하더라도 방구들에서 엉덩이를 떼지 않는 타입이 많지 않았을까 싶다. 

산수를 보는 눈이 남달랐던 대화가 겸재 정선은 눈이 오는 풍경을 보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1741년 신유년 겨울은 눈이 많이 온 해였던 것 같다. 그해 사천 김병연이 양천 현령으로 있는 친구 겸재 정선에게 보낸 편지에는 눈이 많이 온 것에 대한 인사가 많다고 한다. 이 그림도 그 해 겨울 그려진 것으로 나귀를 탄 선비가 너른 들판을 건너가고 있는 장면이다. 양천도 비교적 들판이 넓은 편이니 눈이 많이 내린 아침 아마도 설경을 즐기기 위해 밖으로 나서는 인물에 자신의 심상을 투영한 그림일 것이다. 
이 그림 옆의 화제는 사천 김병연이 쓴 것으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길구나 높은 두 봉우리, 아득한 십리 벌판이로다. 다만 거기 새벽 눈 깊을 뿐, 매화 핀 곳 알지 못하네"


설경과 나귀타고 가는 선비가 그려진 그림을 보면서 눈 오는데 매화 찾으러 가는 그 사람, 파교심매의 맹호연을 자동적으로 떠올린 사천은, 매화가 있음직한 높은 산은 아득한 십리 벌판 너머에 있는 데다 눈도 깊어서 이 나그네 선비가 '매화를 찾으러' 나간다는 것, 인생을 살아나가는 구도자 같은 그 마음이 그저 쓸쓸한 일일 뿐임을 이해하고 시로 표현했다.

절친이 잘 이해했던 것처럼 화가 자신의 심상이 그림에 드러나고 있기는 하지만 인물의 도상은 고씨화보 등에서 나오는 기려상을 벗어나지는 못했다. 


『고씨화보』 중 장로 그림본


왜 그림 속 선비들은 왜 말을 타지 않고 나귀를 타는 것일까? 
중국 북송대 사람 곽희의 화론서 『임천고치』에는 이와 관련된 실마리가 있다. 그가 <서산주마도>라는 그림에 대해 설명하는 과정에서 말을 탄 사람이 떨어진 것을 가리켜 조급하게 앞으로 나아가려는 사람은 이와 같다고 하고, 검은 두건을 쓰고 망아지를 타고 오는 널판 다리를 건너는 사람은 벼슬을 사직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즉 그림에서 말타고 달리는 사람은 벼슬과 명예에 연연하는 사람이며, 망아지나 나귀를 타는, 명예나 이익 출세에 뜻이 없는 은일 처사가 더 격이 높은 사람이라는 인식이다. 

정선이 눈 온 뒤 파교를 건너는 인물을 그린, 원전에 더 가까운 다른 그림과 비교하면 앞 그림의 들판은 더욱 쓸쓸해 보인다. 


겸재 정선 <파교설후도灞橋雪後圖> 91.5x59.3cm 국립중앙박물관 동원기증품.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3 09:22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