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의 서울 숭례문 근처의 풍경. |
일제시기의 의사, 수장가 박창훈(1897?-1951) |
1940년 4월에 개최된 '부내 박창훈 박사 소장품 매립 목록'에 수록된 <이순신 수찰>
1940년 4월에 개최된 '부내 박창훈 박사 소장품 매립 목록'에 수록된 <이조청화백자용형연적>
군인, 고위 관료, 은행가, 수장가 박영철(1879-1939)의 50세 때의 모습 |
박영철의 유물 기증과 기부에 의해 건립된 경성제국대학 진열실 건물 |
서력 | 고미술, 미술시장, 수장가 관계 | 참고사항 |
1941 | ◦5월. 평양박물관 관장 小泉縣夫, 평남 중화군 진파리에서 고구려 고분벽화 발견. ◦6월. 이병직 소장품 경매회 개최(경성미술구락부). ◦6-9월. 경성미술구락부 개축(서울 남산동 2가 1번지). ◦10월. 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회, 보물 28점, 고적 및 명승 2점, 천염기념물 13점 추가 지정. ◦11월. 박창훈.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에서 소장품 재차 매각. ◦11월. 이희섭, 오사카 長堀 高島屋에서 제7회 '조선공예전람회' 개최(600여점 출품, 1-7회 모두 12,000여점 이상 출품) ◦오봉빈의 조선미술관 문 닫음.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8회 실시. 경성미술구락부. 총매상 37만원(창설 이래 최고 실적). |
◦2월. 조선미술가협회 발족, 전시체제의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산하. ◦4월. 『文章』․『人文評論』 강제 폐간. ◦4월. 太古寺(曹溪寺)를 조선불교총본산으로 결정. ◦12월. 물자통제령 발포. ◦이중섭 등, 전위미술단체 신미술가협회 조직. |
1942 | ◦2월. 경성미술구락부 창업 20주년(『창업20주년기념지』 발간) ◦9월. 부여 부소산 서쪽에서 백제벽화 발견. |
◦5월. 『한글』 폐간. ◦서울-인천간 시외전화 개통. |
1941년 6월 6-7일, 경성미술구락부에서 개최된 '고경당 이병직 경매회'에 출품된 <완당선생 해서 대련>
1941년 6월 6-7일, 경성미술구락부에서 개최된 '고경당 이병직 경매회'에 출품된 <이조백자매죽문철사대호>
박창훈의 소장품 판매를 비난한 오봉빈의 「서화골동의 수장가 - 박창훈씨 소장품매각을 기(機)로」, 『동아일보』 1940. 5. 1. 3면(부분).
1942년 신축된 경성미술구락부 전경(京城府 南山町 二町目: 현재 서울 중구 남산동 2가 프린스호텔 자리)
인천시립박물관 뜰에 있는 고유섭 선생 기념비 앞에서
(왼쪽 두번째부터 진홍섭, 고유섭 선생 부인 이점옥 여사, 이경성, 최순우)
서력 | 고미술, 미술시장, 수장가 관계 | 참고사항 |
1943 | ◦2월. '명가진장고서화감상회; 서울 미쓰코시(三越) 五階화랑. ◦藤澤一夫, 부여 정림사지 발굴. |
◦4월. 조선어학회 폐지. ◦9월. 진단학회 해산. |
1944 | ◦6월. 충남, 서산군 청사신축공사장에서 斥和碑 발견. ◦6월 26일. 고유섭 사망(1904-). |
◦5월. 제23회 조선미전(마지막 회) 개최. |
1945 | ◦9월. 조선총독부박물관, 국립박물관으로 개편(초대 관장 김재원, 12월 3일 개관). ◦11월. 국립민족박물관 개관(관장 송석하). ◦12월 1일. 평양의 ‘조선력사박물관’ 개관. |
◦3월. 경부선 복선 개통. ◦4월. 주요 도시에 疏開令 발표. |
1947년 7월, 조선고미술협회 주최로 서울 충무로 청화장 2층에서 개최된 '서화골동대감상회' 목록 표지
1946 | ◦3월. 명량대첩비, 국립박물관에서 해남 우수영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출발. ◦8월. 해방전람회(제1회 書畵同硏展) 개최. ◦8월. 고적보존회, 미군정장관 Arther L., Lerch에게 경복궁내 미장병 사택 건축 재고 건의. ◦10월. 서울대학교 설치령에 의해 서울대학교부속박물관 개관. ◦고유섭의 『松都古蹟』 출간(박문출판사). ◦국립민족박물관 개관. |
◦2월 현재. 서울 인구 896,957명. ◦11월. 尹喜淳, 『朝鮮美術史硏究』(서울신문사) 출간. ◦국사편찬위원회 설립. |
1947 | ◦4월. 국립박물관 개성 분관에 진홍섭 관장 취임. ◦7월. 조선고미술협회 주최, 서화골동대감상회 개최, 서울 충무로 청화장 2층. |
◦9월 17일. 국제연합 총회, 한국문제 정식 상정 |
오봉빈 편, 『각계 인사가 본 박열』 표지, 박열장학회, 1949년 초판. | 1950년 6월에 개최된 이병직의 고서 경매회 목록인 『수진재진장 고서적(韓籍)목록』 표지. |
1948 | ◦5월. 조선고미술협회 주최, 서화골동즉매회 개최, 서울 남산동 조선고미술협회. ◦고유섭의 『朝鮮塔坡의 硏究』 출간(청한사). ◦이병직. 李仁永 소장 『三國遺事』, 『帝王韻紀』를 경매에서 낙찰 받음. |
◦8월. 金瑢俊, 『朝鮮美術史大要』(을유문화사) 출간. |
1949 | ◦11월. 오봉빈 편, 『각계 인사가 본 박열』, 출간. ◦12월. 한국고미술협회 주최, 고미술품교환회 개최, 서울 남산동 한국고미술협회. ◦고유섭의 『韓國美術文化史論叢』 출간(서울문화사). |
◦5월. 국회 프락치 사건. ◦6월 29일, 김구 피살 |
1950 | ◦6. 11. 이병직의 守眞齋 장서 경매(한국고미술협회). ◦국립박물관 수장품 대구, 부산 등으로 피난. ◦6․25로 인하여 장택상의 경기도 시흥․노량진 별장과 유물 파괴. ◦오봉빈, 납북. ◦고미술상 이희섭 사망. |
◦4월.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개최. ◦6․25사변 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