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조선은행 앞(鮮銀前) 광장(현 한국은행 앞 광장). 경성 남촌의 중심지인 이곳은 일본식민통치의 상징과 같은 곳이었다. | 일본인 상가와 일본어 간판으로 가득한 1920년대의 본정(本町: 혼마치, 충무로) | |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 1858-1930): 한국에 건너 와 성공한 일본의 기업가 가운데 대표적인 인물. 황해도 진남포에 삼화고려자기 공장,
경성에 조선미술품제작소를 | 도미타 기사쿠의 삼화고려자기공장에서 제작한 제품 |
서력 | 고미술, 미술시장, 수장가 관계 | 참고사항 |
1921 | ◦4월. 제1회 書畵協會展, 서울 중앙학교에서 개최. ◦9월. 경주 주재 총독부박물관 촉탁 諸鹿央雄 등, 금관총 발굴. ◦10월. 도미타 기사쿠(富田儀作), 조선 고미술 공예품 진열관 설립(경성 남대문통 3정목) 총독부 학무국에 고적조사과 설치. ◦12월. 총독부, '조선미술전람회규약' 발표. ◦경성미술구락부 株 모집 완료(600주. 창립 주주 75명, 고미술상 18명) |
◦3월. 서울 종로구 경운동에 천도교 중앙대교당 준공. ◦12월. 조선어연구회 창립. |
1922 | ◦3월. 경성미술구락부 사옥 신축공사 시작(서울 중구 남산동). ◦3월. 공주, ‘佛敎古書畵展覽會’ 개최. ◦6월. 군산, ‘古今書畵展覽會’ 개최. ◦9월. 경성미술구락부 사옥 완공·창립. 경매 시작. 경매회 9회 실시. ◦10월. 黃金町 귀족회관에서 조선민족미술관 주최 ‘李朝陶瓷器展覽會’ 개최. ◦11월. 도미타 기사쿠, 조선미술품제작소 설립 이사 취임. |
◦1월. 『白潮』 창간. ◦6월. 총독부 주관, 제1회 朝鮮美術 展覽會 개최 ◦10월. 경성시립도서관 개관. ◦12월. 朝鮮史編纂委員會 설치 |
『백조』 창간호 표지. 1922 | 낙랑고분을 도굴한 피의자 10명을 평양에서 체포했다는 기사. 『동아일보』 1926. 5. 16자 |
1923 | ◦8월. 朝鮮寶物古蹟名勝天然記念物保存會官制 공포. ◦9월. 高麗美術會 출범. ◦10월. 대구 달성 고분군 발굴. ◦낙랑 고분군 대규모 도굴(-24). ◦서울 壽町(중구 주자동) 상공회의소. ‘書畵骨董大賣立會’ 개최.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24회 실시. |
◦2월. 開闢社, 조선 문화의 기본조사 착수. ◦6월. 경성무선전신국 설치. ◦12월. 서울에 高麗美術院硏究會 신설. |
1924 | ◦봄. 고려미술원, 을지로 1가(구 반도호텔 자리)에 설치. ◦4월. 조선민족미술관 개설(설립자 柳宗悅, 경복궁 내 緝敬堂). ◦10월. 최초의 신문만화 <멍텅구리>, 『조선일보』 게재 시작. ◦梅原末治, 경주 금령총 발굴.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22회 실시. |
◦봄. 창경원. 야간개장 시작. ◦5월. 경성제대, 豫科 개교. ◦『조선일보』 최초의 여기자, 崔恩喜·尹聖相 채용. |
을축년 대홍수 당시 한강로 삼각지 부근의 침수상황. 1925 | 건축 중인 경성역(현 서울역). 1925. 9월 준공. | |
1930년에 간행된 일본 지리지에 소개된 서울의 북서부. 오른 쪽에 경복궁과 총독부 건물이 보인다. | 김용진(金容鎭: 1878-1968). 호는 영운(潁雲), 구룡산인(九龍山人). 한말에 수원군수 및 내부(內部)의 국장 등을 지냈다. 서화가, 수장가. |
서력 | 고미술, 미술시장, 수장가 관계 | 참고사항 |
1925 | ◦4월. 조선민족미술관 ‘불상사진전’ 개관. ◦12월. 동경유학생들이 대중예술의 건설을 기치로 조선미술 협회 결성.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14회 실시. |
◦9월. 京城驛舍 신축 준공. ◦10월. 朝鮮神宮, 서울에 기공. |
1926 | .◦6월. 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 개관. ◦7월. 경성여자미술학교 설립(수업기간 6개월). ◦10월. 스페인 황태자 구스타브 아돌프(King Gustav Adolf) 입국. 경주 瑞鳳塚 발굴 참가. ◦중국화가 方洺, 서울에 와서 김용진 지도.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20회 실시. |
◦5월. 경성부립대운동장 착공. ◦6월. 순종 국장 거행. ◦9월. 나운규의 <아리랑> 상영. |
1927 | ◦4월. 은사기념조선과학관 일반 공개. ◦10월. 조선민족미술관, ‘조선미술공예품전람회’ 개최. ◦가을. 계룡산 窯址 발굴 시작(이후 일본에서 계룡산 도자 크게 유행).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6회 실시. |
◦1월. 新幹會 발기. ◦9월. 이한복·변관식 등 朝鮮美術會 결성 |
오세창, 『근역서화사(槿域書畵史)』(1928년 출간 때에는 『근역서화징』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오세창, 『근역서화휘(槿域書畵彙) 목록』 |
서력 | 고미술, 미술시장, 수장가 관계 | 참고사항 |
1928 | ◦3월. 연희전문학교박물관 개관. ◦5월. 오봉빈, 천도교의 내분에 실망하여 불교에 귀의. ◦5월. 오세창, 『槿域書畵徵』(啓明俱樂部) 출간. ◦평양부립박물관 설립. ◦경성제국대학. 조선토속참고품진열실 설치.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11회 실시. |
◦4월. 京城府營 버스 10대, 운행 개시. ◦11월. 洪命憙, 「林巨正」, 『朝鮮 日報』에 연재 시작. |
1929 | ◦봄. 오봉빈, 조선미술관 창설(종로구 안국동) ◦6월. 新友會, 서울 東幕 가설극장에서 경상북도 기근동포를 위한 ‘朝鮮名畵大會’ 개최. ◦9월. 조선미술관, 광화문 이전 후 ‘古今書畵展’ 개최 (이황·이이·김옥균 등 작품 전시) ◦박영철, 자서전 『五十年の回顧』간행(京城, 大阪屋號書店). ◦부여고적보존회 창립.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15회 실시. |
◦1월. 朝鮮南畵協會 창립. ◦6월. 월간 『三千里』 창간. ◦7월. 조선저축은행 설립. ◦11월. 광주학생운동 일어남. |
박영철(1879-1939). 군인, 실업가, 수장가. | 박영철, 『오십년의 회고』, 京城, 大阪屋號書店, 1929 | |
오봉빈(1839-1945), 우리나라 최초의 전시기획자로 미술시장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 오봉빈의 조선미술관 주최, 동아일보사 학예부 후원으로 1930.10.17-22일, 제1회 ‘朝鮮古書畵珍藏品展覽會’가 개최됨을 알리는 사고(社告)(동아일보사). |
1930 | ◦2월. 京城日報社 주최, ‘珍品展覽會’ 개최. ◦3월. 전형필, 일본에서 귀국. 이후 吳世昌을 모시고 문화재 수집 시작. ◦10월. 오봉빈의 조선미술관. 제1회 ‘朝鮮古書畵 珍藏品展覽會’ 개최(동아일보사) .◦이무렵 오세창,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들 가운데 일부를 박영철에게 넘기고 일부는 보관 (오세창 유족은 1964년 성균관대학교에 기증). ◦경성미술구락부. 경매회 14회 실시. |
◦3월. 韓國獨立黨 결성(상해). ◦봄. 東美會·綠鄕會 조직. ◦10월. 규장각 도서 15만책, 경성제국 대학으로 이관(28년부터 3차에 걸쳐 완료). ◦경성부 인구 39만 4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