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파리가 사랑한 동양미술관
  • 최열의 그림읽기
  • 영화 속 미술관
  • 조은정의 세계미술관 산책
  • 미술사 속 숨은 이야기
  • 경성미술지도-1930년대
  • 김영복의 서예이야기: 조선의 글씨
  • 한국미술 명작스크랩
  • 도전! C여사의 한국미술 책읽기
  • 왕릉을 찾아서
  • 시의도-시와 그림
  • 근대의 고미술품 수장가
타이틀
  • 9. 장택상 인터뷰: 도자기 수집의 권위 장택상씨
  • 5767      

조선일보사에서 발행하는 잡지 『朝光』은 1937년 3월호에서 당시 유명한 조선인 고미술 수장가 한상억, 장택상, 이한복, 이병직, 황오의 5명을 찾아 인터뷰한 특집 「진품수집가 비장실역방(珍品蒐集家 秘藏室歷訪)」을 게재하였다. 이 인터뷰에서 장택상의 우리 미술품에 대한 애정과 수장가로서의 긍지를 느낄 수 있는 한편 우리나라 사람들의 문화재에 대한 무지를 직설적인 어투로 비판한 것도 볼 수 있다. 당시 "京城(서울)에서 도자기 매매로 생활하는 이가 오륙백명, 판매가격이 칠팔 십 만원어치나 된다"는 그의 말은 한국 근대의 미술시장과 유통에 대한 생생한 증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1935년 당시 등록된 서울의 고물․골동상은 180개 였는데, 그 중에서 '문화재수집가들이 출입할 만한' 고미술상은 대략 20여개 내외의 점포로 추정된다. 이러한 실정에서 당시 서울에서 도자기 매매로 생활하는 일본인이 500-600명이라는 언급은 놀랍다.


“조선색(朝鮮色) 조선질(朝鮮質)을 자랑하는 도자기 수집의 권위 장택상씨”
장택상과의 인터뷰가 실린 『朝光』 3권 3호(1937. 3)

몇 십년 동안이나 도자기를 모으고 이 방면에 각고(刻苦) 연구하는 장택상씨를 그의 자택으로 찾았다. 아래 위에 보랏빛 의복을 입고 만면에 패기를 띠신 씨는 아침 세수를 하시다 말고 기자를 맞아주신다. 씨의 서재에 들어가니 책상 문갑 주전자 화로 등 이상한 진품이 죽 늘어있고 더욱이 화려한 도기 병에 한포기 난초가 겨울도 모르는 듯이 아담이 피어있다. 기자는 씨에게 인사를 드리고 다짜고짜로

  "도자기를 수집하시는지가 몇 해나 되었습니까?" 하였더니
  "한 이십년 되었습니다."
  "수집하시게 된 동기는요?"
  "별것이 있소. 그저 조선 물건에 취미가 있어 모으기 시작하였지요"
  "그럼 종류는 대개 어떤 것이 있습니까?"
  "네 이조 오백년간을 목표로 하여 자기를 모았습니다."

  여기까지 일사천리격으로 문답을 계속하였으나 씨는 목표라는 말에 기운이 나는지 돌연히 그 동안(童顔)에 열을 띄우시고 말을 계속하여

  "동양 사람과 서양 사람이 도자기에 대한 관념이 전혀 다르지요. 서양 사람은 좋은 도자기가 있으면 값을 아끼지 않고 몇 십만원이라도 주고 삽니다. 중국 사람도 좋은 도자기라면 그 조각이라도 수건에 싸가지고 다니고 혹은 품에 품고 다닙니다. 조선 사람같이 이 방면에 무관심한 사람이 어디 있겠소. 조선 사람은 그 훌륭한 도자기를 본정(本町: 충무로)으로 들고 가서 오전 십전에 파는 구려. 참 기가 막히지요. 조선 사람은 죽어야 해요. 그저 죽어야 해요…"
  "아, 그렇습니까"

  하고 기자도 같이 한숨을 내쉬었다. 씨는 기자를 바라보며

  "여보세요. 글쎄 몇 □만원이나 되는 세계적 국보를 오전 십전에 모두 팔아먹었구려. 외국박물관을 다녀보면 좋다는 도자기는 모두 조선 것이구려. 이것이 모두 조선 사람들이 오전 십전에 팔아먹은 것들이오"

  씨의 열화같은 설명에 기자는 다못 얼이 막혀서 고개만 숙일 뿐이었다. 씨의 말은 끊일 줄을 몰랐다.

  "조선도자기는 세계 제일이에요. 어느 나라 사람이나 세계 어느 공장에서나 조선 자기같은 것을 만들 수 가 없다는 구려. 참 지난 십일월에 저축은행(貯蓄銀行) 두취(頭取: 은행장)이든 모리 고이치(森梧一)씨의 유애품(遺愛品)을 경매하였는데 그 중 이조염부난진사철사국화문대병(李朝染付蘭辰砂鐵砂菊花紋大甁: 高 一尺四寸)이라는 것은 실로 □실(實)한 진품(珍品)인데 일만사천오백팔십원에 경매가 되었습니다."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 국보 제294호, 현재 간송미술관 소장
‘고 삼오일씨 유애품(故森梧一氏遺愛品) 경매회’에서 <청화백자철사진사국화문병>이 1만 5천원에 경매되었다는 기사가 실린 『京城日報』(1937년 11월 23일자).

  "그 병은 누가 샀습니까?"
  "전형필(全鎣弼)씨가 샀지요. 글쎄 이런 진품을 조선 사람들은 오전 십전에 팔았구려. 아마 이것도 조선사람이 본정(本町)으로 가져가서 많이 받았댔자 일원미만에 팔았겠지요. 어찌 그뿐이겠습니까? 오륙백원짜리되는 옛날 조선 좋은 책상을 본정(本町)으로 가지고 가서 십전 이원 십원씩 주고 평전(平田: 히라타 백화점) 삼월(三越: 미쓰코시 백화점) 등에서 사오는 구려. 이런 정신없는 사람들이 어디 있겠어요. 기막혀요. 기막혀…"

  씨는 입을 쩍쩍 다시며 눈을 들어 허공을 바라본다. 기자도 옳은 말이라고 머리를 숙였다가

  "그래 그처럼 세계적이라는 조선도자기에 대하여 그 가치가 어디 있습니까?"

  하고 일탄을 보내었다. 그러나 씨는 백발백중(百發百中)이요, 백발백방(百發百防)이었다.

  "그 가치는 형으로나 색으로나 또는 칠한 약으로나 도저히 외국 사람이 따를 수가 없다고 합니다. 일본 내지(內地)만 하여도 각 대학의 공과(工科)를 졸업한 기사(技師)들이 대규모의 공장을 설립하고 여러 가지로 연구를 하여보나 도저히 조선 자기 같은 것을 만들 수 없는 모양입니다."
  "선생의 가지신 자기는 몇 점이나 됩니까"
  "네 한 천 여점 됩니다. 그 중에 쓸 만한 것은 삼백여점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때 씨는 옛날 조선 죽도(竹刀)를 꺼내어 그 정교하고 우미한 것을 말씀하고 다시 진귀한 도자주병(陶磁酒甁)을 꺼내어 기자에게 뵈이며

  "자 이렇듯 좋은 자기가 세계 어느 나라에 있습니까? 도저히 외국 사람으로는 따르지 못할 일이지요."

  기자는 얼른 그 주병을 바라보았다. 그 우미(優美)한 맛이 문외한인 기자에게도 실로 좋은 듯하였다. 뿐만 아니라 양측에 다람쥐의 부조(浮彫)가 있고 전후면에 매죽(梅竹)의 부조가 있는 것은 참말 진귀하였다. 기자는

  "이 병 가격이 얼마나 됩니까?"하고 좀 타산적인 말을 내어 걸었다.
  "아마 오천여원가치는 넉넉히 되지요. 그러나 이것도 아마 조선 사람이 십전 이십전에 판 것이겠습니다. 얼마 전에 일본 내지인이 충남 아산에 가서 기름(油)을 넣어 부엌에 달아맨 병을 이십전에 사왔는데 얼마전 그 병이 오백팔십원에 팔렸답니다."
  "그러면 이런 물건을 어디서 사십니까?"


1930년대의 본정(本町: 혼마치).
남산 북쪽에서 청계천에 이르는 서울 도성의 남부 일대를 가리키는 ‘남촌’이라는 단어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이 지역에 진출하면서 청계천 이북 조선인 거주 지역인 북촌과 대비되어 널리 사용되었다. 현재의 충무로와 명동 일부를 아우르는 지명인 본정통(本町通)은 서울에 ‘근대성’이 유입되는 통로이자 서울 도시화의 상징으로서, 일제강점기 당시 거의 모든 사회․경제․문화적 기능이 집중되어 있었다. 일본인 골동상들도 대개 이 지역에 많이 모여 있었다.

  "모두 역수입이지요. 조선 물건이지만 모두 일본내지인의 손을 통하여 사게 됩니다. 경성만 하여두 이런 도자기로 생활하는 일본 내지사람이 오륙 백 여명이나 되고 그 판매가격이 칠 팔 십만원 어치나 됩니다. 전 조선을 치면 아마 일천만원이상이 될 것입니다. 이런 거액이 모두 조선 사람의 손에서 십전 이십전에 팔려나갔으니 왜 기가 안 막혀요. 글쎄 세상을 모르고 어떻게 삽니까? 죽어야 해요. 죽어…"

  씨는 감개무량한 듯이 연해 죽어야 한다는 것을 내세운다. 기자는 다시 기운을 내어

  "선생의 가지신 도자기중 어느 것이 제일 진귀품입니까?"
  "별것 없습니다. 저 꽃을 꽂은 <염부난문수주(染付蘭紋水柱)>라는 화병과 또는 저 <염부매화문식목발(染付梅花紋植木鉢)>이라는 화분이 좀 귀품(貴品)이지요."
  "그 가격은 얼마나 됩니까? 예술품을 가격으로 논하는 것은 좀 실례입니다마는…"
  "아마 한 한 개에 오천 원 정도는 되겠지요"
  "그러면 지금까지 자기를 수집하시기에 얼마나 한 수집가격이 들었습니까?"
  "아마 오 륙 만원을 들었겠지요."
  "그러나 만약 지금 수집품을 파신다면 얼마나 되겠습니까?"
  "글쎄요. 십여만원 될까요."
  "참 굉장합니다. 그런데 미안하지만 선생의 수집품을 좀 구경시켜주십시오…"
  "무어 별것 없습니다."

  하며 씨는 일어서서 뒷 방문을 여신다. 기자는 따라 들어갔더니 널따란 방에 물건이 가득이 쌓여있다. 모두 조그마한 궤짝을 짜서 일일이 넣어놓고 품명과 번호와 연일을 적어놓았다. 씨는 기운을 내어

  "이 방에 있는 물건은 모두 조선 물건입니다. 심지어 모자털이까지 조선 것입니다."

  하며 조그마한 모자 술을 내어 보이신다. 사실 씨의 방에는 화로 문고 주전자 밥상 책상 찻잔 문갑 담뱃대 할 것 없이 모두 조선 것이다. 씨는 조선 것을 모아쓴다는 점에서 자랑을 느끼시는 모양이다. 기자는 씨의 수집품을 일일이 구경하고

  "조선자기 중 지금까지 제일 고가의 것은 어떤 물품이 있습니까?"
  "작년 동경에서 매매된 <옥자수명(玉子手銘)>이라는 찻잔이 아마 제일 고가인 모양인데 한 개에 삼십 오만원에 팔렸답니다. 사신 분은 일본 내지의 대부호 암기(岩崎)씨이고 그 물건은 임진란 당시에 일본내지로 갔다고 합니다."
  "그러면 옛날 자기가 많이 산출되는 곳은 어디입니까?"
  "황해도지방입니다. 작년 만해도 육십만원이 산출하였지요."

  씨는 여기까지 이야기를 하였으나 조금도 염증을 느끼지 않으신다.

 * 한자를 대폭 한글로 바꾸었고 일부 한자를 병기하였으며 설명을 (   )안에 추가한 부분이 있다. 일부 현대문법에 맞게 바꾸었으며 ‘□’는 판독할 수 없는 글자이다.

편집 스마트K
업데이트 2024.11.20 16:25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