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국내외미술기사
  • 국내 미술기사
  •  해외 미술기사
  • 이슈
  • 국내외 전시일정
  • 국내 전시일정
  • 해외 전시일정
  • 보도자료
  • 미술학계소식
  • 구인구직 게시판
  • 공지사항
타이틀
  • [국립중앙박물관] 2017년 경주서봉총 재발굴 성과 공개/ 현장 설명회 2017.8.4(금) 오후 3시
  • 2101      

국립중앙박물관, 2017년 경주 서봉총 재발굴 성과 공개

-서봉총의 규모와 구조, 축조 방식 등 확인-

 

현장설명회 일시: 84일 오후 3

공개 장소: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108-1번지 서봉총 발굴조사 현장

조사예정기간: 43() ~ 1027()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오는 84일 오후 3시에 경주 서봉총(노서동 129호분) 재 발굴조사 성과를 공개한다. 작년에 이어 속개한 이번 발굴에서는 일제강점기 조사에서 알 수 없었던 서봉총 북분의 규모와 구조, 남북분 매장주체부의 구조, 남북분의 연접 방식과 선후 관계, 제사 토기와 추정 제단 등을 밝히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발굴의 중요한 여러 성과는 신라 능묘의 복원뿐만 아니라 경주시가 추진하는 도심고분공원 조성사업에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 하겠다.

일제강점기의 서봉총 발굴(1926년과 1929)은 매장주체부인 목곽 내부를 조사하여 부장품을 수습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기 때문에 매장주체부 바깥에 있는 봉토, 호석과 제사 토기(큰 항아리) 등은 조사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서봉총은 부장품 중심으로 알려졌을 뿐 능묘 전체의 규모나 구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었다.

올해 조사한 북분은 장축이 동서향에 가까운 타원형이며, 크기는 당초의 추정치인 36.3m를 뛰어넘는 46.7m 내외로 드러났다. 봉분의 규모는 주인공의 신분과 직결되는 것이어서 이번 조사 결과가 갖는 의의가 크다. 또 북분의 서남쪽 호석을 따라 늘어선 제사 토기(큰 항아리)는 봉분의 조성이 끝난 이후 이루어진 의례와 연관되는 것으로, 신라 능묘에서 장례 이후의 의례 과정을 복원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남분은 봉토와 매장주체부 모두가 북분의 절반 정도의 규모이며, 목곽은 지하에 둔 것으로 드러났다. 이렇게 규모와 구조의 차이가 뚜렷한 대형분과 소형분을 연접한 신라 능묘는 유일한 것으로, 신라 연접분의 축조 방식, 피장자 사이의 관계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시사점을 준다. 호석과 거리를 두고 독립적인 형태로 설치한 추정 제단 역시 이번에 처음 확인된 형식으로 신라의 능묘 의례를 연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구체적인 조사 성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북분은 장축 46.7m 단축 42.2m 내외의 타원형으로 장축이 거의 동서향( E-5°-S)이라는 점, 북분의 매장주체부는 지상식으로 금관총처럼 돌을 쌓기 위한 목조木造 가구架構를 설치했으며, 적석부의 남북 길이는 약 10.8m로 추정되는 점, 남분의 매장주체부는 지하식으로 이중으로 목곽을 설치했을 것으로 추정되고, 적석부의 규모는 약 7.6×5.5m라는 점, 남분은 북분의 호석護石과 봉토의 일부를 걷어낸 이후 설치했다는 점, 북분의 제사 토기(큰 항아리)는 남분과 마찬가지로 호석 바깥 가장자리를 따라 열 지어 두었으며 최소 7점 이상인 점, 남분 남쪽 호석 바깥 1.22.1m 거리에 5.2×3.3m 크기의 추정 제단을 설치한 점, 등이 있다.


글/사진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1 18:06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