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국내외미술기사
  • 국내 미술기사
  •  해외 미술기사
  • 이슈
  • 국내외 전시일정
  • 국내 전시일정
  • 해외 전시일정
  • 보도자료
  • 미술학계소식
  • 구인구직 게시판
  • 공지사항
타이틀
  • [국립중앙박물관] 문자, 그 이후 The Characters, thereafter
  • 2264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 등

고대 문자자료가 한 자리에

 

전시명: 2011년 특별전 “문자, 그 이후 The Characters, thereafter”

◦ 기간 및 장소: 2011.10.5~2011.11.27(6주간)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전시품 및 규모: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 등 고대 문자자료 500여점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 등 대표적인 한국 고대 문자자료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10월 5일부터 특별전 ‘문자, 그 이후: 한국고대문자전’을 통해 ‘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국보196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126호), “연가7년명 금동불상(국보119호)”,“진솔선예백장 인장(보물560호)”과 같이 이미 잘 알려진 국보급 문자자료는 물론, 국내 최초로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과 정창원正倉院 문서 등을 공개한다. 고대인의 생활을 조망할 수 있는 본격적 문자자료 전시로서 총 전시품 500여점에 달하는 이번 전시는 국내 문자자료전 사상 최대 규모이다.

 

이번 특별전에서는 문자자료의 수용과 그 발전 과정을 통치, 생활, 사상의 면에서 조명하였다. 특히 생활 속의 문자 모습에 대해서는 전시자료를 통해 신라 궁중宮中에서 먹은 가오리, 돼지, 사슴과 노루, 간장 등 음식과 젓갈과 같은 요리, 그리고 보리, 쌀, 피와 같은 곡물 모습 등을 볼 수 있다. 거친 환경에서도 잘 자라는 튼튼한 품종의 벼, 적미赤米를 개발하여 식량 문제를 고민한 백제사람들의 지혜가 엿보이며, 건강을 위해 감초나 대황 등 약재와 처방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런가 하면, 글자 연습에 나날을 보내던 하급下級 관리의 낙서落書나, “돈이 없어 벼슬길에 오르지 못한다”는 한탄, 죽은 가족이 극락에서 왕생하기를 비는 가족들의 바램, 가뭄에 비를 애타게 기다리며 용왕龍王에 기도하던 절박한 심정도 전시 자료를 통해 옛 사람들의 내면까지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7세기 백제의 목간에 의하면 이자율이 무려 5할이나 되는 고리대였다. 신라촌락문서에서는, 뽕나무를 심고, 삼밭을 일구며 소와 말을 키우던 농촌 백성 모습과, 신라 문서 발견 과정을 통해 폐기된 문서를 포장지 등으로 재활용한 알뜰살뜰한 당시 살림살이를 볼 수 있다. 경주 능지탑 출토 소조불(흙을 구워 만든 불상)의 “膝(무릎)”“股(넓적다리)”같은 표시나, 건축물 벽돌의 위치 표시 등을 통해서는, 당시 사람들의 꼼꼼한 계획성을 살필 수 있다.

 

한편 문자 수용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던 낙랑지역의 봉니封泥와 인장 등이 공개된다. 경주 석가탑 출토 먹, 부여 관북리 출토 자료는 물론 안압지에서 출토된 종이자료 등 희귀자료와 여러 종류의 벼루 등 삼국 사람들의 문방구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일본 역사민속박물관 소장 광개토왕비 원석 탁본이다. 원석탁본이란 석회가 발라지기 이전에 뜬 탁본으로 5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를 밝히는 데 중요한 1차 자료인 광개토대왕비의 원모습을 전해주는 일급자료이다. 지금까지 10여종의 원석탁본이 알려져 있으며, 이번에 전시되는 원석 탁본은 그 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밖에 신라 호적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일컬어지는 미노국(御野國) 호적 등 일본 정창원 문서(복제 포함)도 2주마다 교체하며 모두 20여점을 선보일 예정이다. 또 발해를 기록한 다가죠비多賀城碑, 왕인王仁 박사가 천자문을 일본에 전했다는 내용을 기록한 『고사기(古事記)』 등 일본 고대 자료도 우리 문자문화의 영향을 받은 일본 문자 자료도 비교․전시된다. 그리고 설총이 정리한 이두, 향찰, 각필 자료와 함께, 세예사적으로 사산비 등 신라명필의 작품이 전시된다. 화려하지 않은 소박한 자료 속에서, 옛 사람들의 마음 속 까지 헤아려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11월 27일(일)까지 개최된다.

 

광개토대왕비 원석탁본

무구정광대다라니경(국보126호)

 

이 보도 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이용현 학예연구사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02-2077-9461)

 

편집 스마트K (koreanart21@naver.com)
업데이트 2024.11.03 21:51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