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국내외미술기사
  • 국내 미술기사
  •  해외 미술기사
  • 이슈
  • 국내외 전시일정
  • 국내 전시일정
  • 해외 전시일정
  • 보도자료
  • 미술학계소식
  • 구인구직 게시판
  • 공지사항
타이틀
  • [국립중앙박물관]풍속화실 신설과 반가사유상 교체전시
  • 2419      

 

풍속화실 신설과 반가사유상 교체전시

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영나)은 국립중앙박물관 서화관 회화실에 풍속화실을 신설한다. 5월 5일(목)부터 선보인 이 전시에는 <단원풍속화첩>을 포함하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김홍도, 신윤복의 대표작품이 20여 점 출품된다.

단원 김홍도는 정조가 총애하던 화가로 대표적인 조선시대 풍속화가다. 표암 강세황은 김홍도의 풍속화를 두고, “한번 붓이 떨어지면 손뼉을 치며 신기하다고 부르짖지 않는 사람이 없다. 세상에서 말하는 김홍도의 속화(풍속화)가 바로 이것이다”라고 평가하였다. 벼 타작하는 농부, 춤추는 아이, 씨름하는 장면 등 김홍도의 풍속화는 현장에서 사생한 듯한 생생함, 사회에 대한 풍자적 시각, 순간포착한 듯한 생동감 등이 특징이다.

혜원 신윤복은 김홍도와 더불어 우리나라 풍속화를 대표하는 화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는 점, 강렬하고 세련된 색채를 구사하였다는 점 등에서 김홍도와 차이를 보인다. 그의 풍속화에는 양반 사대부와 서민, 승려, 여인 등 다양한 인간상이 어우러져 있으며, 남녀의 애정표현도 과감하게 포함시켰다.

요즈음 사람들은 행사가 있을 때나 여행을 떠날 때 사진기를 가져가 즐겁고 행복한 순간의 흔적을 남겨 오래 간직하고자 한다. 사진기가 없던 옛 시절, 행사를 기록화로 남기고 사람들의 생활상을 풍속화로 그렸던 조선 사람들의 마음은 우리와 같았을 것이다. 그래서 오래 전 낯선 공간에서 벌어지는 장면이지만, 조선 사람들의 일상을 담은 풍속화를 보면 사뭇 실감이 나고 흥미진진해진다.

이러한 풍속화를 집중적으로 전시한 풍속화실은 개관 이래 처음으로 신설되었다는 의미가 있으며 영상물과 이미지 패널을 설치하여 보다 쉽게 풍속화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를 선보인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향후 다양한 교체전시를 통해 우리 선조들의 생활과 문화를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는 가장 한국적인 특색을 지닌 공간으로 운영될 것이다.

한편, 조각·공예관 불교조각실에서는 5월 10일(화)부터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을 전시한다. 부처님 오신 날을 기념하여 그동안 전시되고 있던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과 교체하여 전시하는 것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앞으로 부처님 오신 날에 맞춰 두 금동반가사유상을 교대로 전시할 계획이다.

이번에 전시되는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은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과 더불어 현존하는 우리나라 금동반가상의 걸작 가운데 하나이다. 머리에 쓰고 있는 관은 여러 가지 모티프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는 초승달과 해 모양의 장식이 들어 있어 일월식 삼산관(日月飾 三山冠)으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 장식적이고 평면적인 조형성을 띠고 있다.

 

<풍속화실 대표작품>

<단원풍속화첩>

<여속도첩>

서당 書堂

종이에 엷은 색

풍속화의 소재를 총망라하여 그린 총 25폭의 <단원풍속화첩>에 실린 ‘서당’ 장면이다. 배경을 간단하게 처리하고 장면만을 강조하여, 당시 상황의 생생함이 물씬 드러난다. 아이를 혼내고 속상한 훈장선생님과 그 앞에 돌아앉아 우는 아이, 빙 둘러앉은 아이들이 이루는 서당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짜임새 있는 원형구도로 표현하였다. 투박하지만 힘있는 필선이 돋보인다.

전모를 쓴 여인

비단에 엷은 색

혜원蕙園 신윤복은 김홍도와 더불어 우리나라 풍속화를 대표하는 화가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는 점, 강렬하고 세련된 색채를 구사하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조선시대 여인들은 외출시에 장옷, 처네 등 다양한 종류의 쓰개를 써서 얼굴을 가렸다. <여속도첩>에는 배경없이 한 여인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데, 우산처럼 큰 모자를 쓰고, 한껏 부풀게 그려진 치마를 입고, 산뜻한 분홍색의 신발을 신었다. 화면 오른쪽에는 “옛 사람들이 미처 하지 못한 것이니 기이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고 써 있다.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

민길홍(☎ 02-2077-9497)· 채해정(☎ 02-2077-950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편집 스마트K (koreanart21@naver.com)
업데이트 2024.11.04 20:49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