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磁靑華鳳凰紋四角甁 높이 17.0cm
2015년5월31일 서울옥션 제15회 홍콩세일 No.112번 유찰
모든 것을 다 갖춘 병이라고 할 수 있다. 흰 바탕에 푸르고 선명한 색의 안료 색상, 당당하면서 분명한 형태 그리고 고르고 골라 그린 위엄 가득한 상징의 도안 등. 조선 후기 분원가마에서 제작된 사각 병 중 최상급 수준과 감각을 유감없이 보여주는 사례가 아닐 수 없다.
사각 병은 조선후기 들어 멋과 개성의 시대가 열리면서 만들어진 형태이다. 18세기부터 빈번해진 연행사절이 가져온 중국 수입품이 한 가지 자극제가 됐을 것이다. 이렇게 해서 18세기 후반 들어 만들어직 시작해 19세기에는 크게 유행하게 됐다.
이 병은 사각병이라고 해도 곡선의 멋을 군데군데 살려놓았다. 구연부의 입술은 밖으로 벌어지게 했고 또 병목도 안으로 휘어 넣어 부드러운 커브를 그렸다. 분원 사각 병의 특징대로 어깨 윗면에서 측면으로 꺾이는 부분에 비스듬하게 깎아내 모서리를 죽였다.
측면에는 다람쥐 모양의 조각이 손잡이처럼 달았다. 바닥과 닿는 굽도 단을 별도로 만들어 측면을 안상(眼象) 형태로 떠내 장식을 넣었다. 병의 조형에 한 점 흐트러짐이 없는 것이나 각각의 면이 마주치는 곳에서 보이는 선의 분명한 점으로 보아 특별한 사용처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다.
병에 그려진 문양이 이를 말해준다. 지금까지 전하는 사각 병에는 산수문 아니면 사군자와 같은 초화문이 압도적으로 많다. 이 병에도 측면에는 초화문을 그렸다. 그런데 주문양(主文樣)에 해당하는 정면과 뒷면 문양은 봉황과 학에 산수이다. 봉황은 용문과 나란히 궁중의 권위를 상징하는 문양이다. 그런 점에서 일부에서는 이 병이 궁중의 왕비전 같은 곳에서 사용되었을 것으로도 추정한다.
봉황 문양은 19세기 후반으로 내려오면 일반에서 사용했음직한 청화백자에도 더러 등장한다. 그렇지만 이 병에 그려진 봉황문은 이들과 달리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이런 모습의 봉황문은 그 사례가 극히 드물다. 이 점 역시 궁중의 어느 특별한 전각용으로 제작됐음을 말해준다.
이 병은 모두 청화로 문양을 그렸지만 측면의 다람쥐형태의 손잡이에는 약간의 철채 안료를 사용해 악센트를 주었다. 균형감을 잘 갖춘 형태와 분명하게 드러나 보이는 선 그리고 발색이 좋은 청화 등은 시대를 올려 잡게 해 19세기가 되기 이전인 18세기 후반에서 말기 사이에 분원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게 한다.(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