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磁陰刻 菊唐草文 鉢盂 四點一括 12세기 지름 각 21.5cm 19.8cm 18.1cm 16.1cm
2008년6월18일 서울옥션 제111회 미술품경매, No.140 1억원 낙찰
오늘날 도자기는 식기로 생각하기 일쑤입니다. 하지만 이는 근세 이후의 생각입니다. 자기는 조선시대 말기까지 사치품이었습니다. 고려시대는 더 말할 것도 없습니다.
청자 기술은 통일신라시대 말기쯤 중국에서 전해졌습니다. 중국 강남의 월주(越州窯)가마가 발신지입니다. 이곳 도공이 오대말 전란을 피해 직접 건너왔다는 설도 있습니다.
초기 월주요 계통의 청자는 푸른색이 아닙니다. 누르스름합니다. 그러다가 11세기에 들어 푸른색에 성공합니다. 아무 문양도 없는 순청자(純靑磁) 시대입니다. 이 무렵에 중국 사람들도 감탄한 비색(秘色)의 고려청자가 완성됩니다. 이어져 음각 문양의 시대가 열립니다.
이런 청자를 사용한 사람은 당연히 고려의 최상류층입니다. 왕족과 귀족 외에 사찰도 주사용처였습니다. 불교가 국교였던 때문만은 아닙니다. 고려 왕족 중에는 출가자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이름난 사찰은 저절로 왕가와 관련이 깊었습니다.
바릿대는 한자로 발우(鉢盂)라고 합니다. 스님들의 식기입니다. 전문가 이 선생의 말에 따르면 발우는 일반 식기와 다른 점이 있습니다.
먼저 겉에서 보면 굽이 보이지 않습니다. 안쪽을 약간 파내 굽을 만들었을 뿐입니다. 둘째로 구연부, 즉 입 닿는 곳이 곧추 세워져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셋째는 접시 모양의 받침을 더해 4-5개가 세트로 돼 있습니다.
청자 바릿대는 사례가 전혀 없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조선시대초기 분청사기에는 바릿대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이 바릿대 세트는 비색의 순청자 시대 것입니다. 그릇 외부는 아무런 문양이 없습니다. 안쪽에 당초덩굴에 국화문을 음각으로 새겼습니다. 감추어진 호사로 사용주의 신분이 엿보아지는 대목입니다.
그런데 이 바릿대는 사용한 흔적이 전혀 없습니다. 이처럼 사용 흔적이 없는 청자의 사례 역시 매우 희귀합니다.(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