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다란 순백자 항아리는 조선 초기부터 후기까지 계속해 제작되었다. 그런데 커다란 항아리라고 해도 자세히 구분하자면 위로 기다란 것과 옆으로 펴져 둥그스름한 것 두 가지가 있다. 한자어로 우리말 항아리를 표기하면 호(壺) 또는 준(樽, 罇, 尊)이 된다. 한자로 호라고 한 항아리는 옆으로 볼륨이 있는 형태를 가리키며 준은 위로 키가 큰 것을 가리킨다. 옆으로 퍼진 호 항아리의 용도는 대개 마른 곡식 따위를 넣어 보존하는 용기였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준의 경우를 보면, 궁중의 의궤 등을 그린 그림에서 꽃을 꽂아두는 용도로 쓴 사례 등을 찾아볼 수 있다.
옆으로 볼륨이 있어 둥그런 항아리도 실은 자세히 보면 종류가 여럿이다. 위아래와 좌우의 비율이 대체로 비슷해 보름달처럼 둥실한 것이 있는가 하면 둥글기는 하되 위아래로 잡아 늘인 것처럼 기다란 것이 있고 또 반대로 아래위에서 누른 것처럼 좀 납작한 것도 있다.
위아래 균형을 잘 갖춘 달 항아리는 특히 금사리 가마에서 주로 제작됐다. 질 좋은 백토를 잘 정련해 만든 이들 달 항아리의 몸체 색깔은 뽀얀 유백색이다. 또 주둥이가 굽보다 넓어 옆에서 보면 당당하고 늠름한 느낌을 주는 게 특징이다.
달 항아리를 만들 때 보면 물레를 사용해 위쪽과 아래쪽을 따로 만들어서 붙인다. 그래서 몸체 한 가운데를 가로 지르며 서로 이어붙인 자국이 남아있다. 이렇게 이어붙인 자국으로 해서 바로 달 항아리 고유의 특징이 나타난다. 즉 이어붙인 곳은 안쪽에 태토로 덧대게 되는데 이렇게 덧댄 곳과 그렇지 않은 곳 사이에는 두께 차이로 인해 구을 때 자연히 수축률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굽고 난 항아리는 이 차이로 인해 전체가 약간 불규칙하게 일그러지게 된다. 천연이 빗어낸 이 곡선이 바로 달 항아리의 깊고 그윽한 아름다움이 되는 것이다.
금사리에서 만들어진 달 항아리는 그 숫자가 많지 않은 데에도 불구하고 현재 4점이 국보(제261, 262, 309, 310호)로 지정돼 있으며 4점은 보물(제1437, 1438, 1439, 1441호)이다.
백자 항아리(白磁壺) 18세기 높이 44.5cm 호암미술관 국보 309호
백자 항아리(白磁壺) 18세기 높이 40.8cm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1437호 *문화재청사이트
궁중계회도(宮中契會圖, 1577년 71.3x106cm 개인)에 보이는 백자 항아리의 사용 사례
아래 참고용
국보 262 용인대학교
국보 309 리움
국보 310 신성수
보물 1437호 국박
보물 1438 개인 이정용
보물 1439호 디 아모레 뮤지움
보물 1441호 정갑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