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회화
  • 도자
  • 서예
  • 오늘의 그림 감상
  • art quiz exercise
타이틀
  • 2_7. 철채 청자
  • 3524      

   

      청자철채 상감운학문 매병

         (靑磁鐵彩象嵌雲鶴文梅甁)    
      12세기 높이 35.7cm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철채 상감삼엽문 매병

(靑磁鐵彩象嵌蔘葉文梅甁) 
12세기반 높이 27.6cm 국립중앙박물관 

철화 청자와 같이 산화동을 안료로 사용했지만 붓으로 그림을 그려(畵) 넣은 것이 아니라 전체를 채색하듯 발랐다는 의미에서 철채(鐵彩)라는 말을 쓴다. 철분의 농도가 짙은 경우에는 마치 흑유를 바른 것처럼 아주 검게 보이는 것도 있다. 철채는 상감 등의 기법과 함께 사용해 강한 흑백 대비를 통해 문양을 돋보이게 하는 기법으로도 쓰였다.

철채 청자의 경우, 일본의 일부 학자(伊藤旭太郞)는 굽을 제외한 전체 부분을 철분이 많이 든 흙물(鐵泥)로 화장을 하듯 바른 뒤에 문양을 표현했다고 해 철니지(鐵泥地)라는 말을 쓰기도 한다. 일제시대에는 흑고려(黑高麗) 또는 고려 천목(高麗天目)이란 말도 썼다.
 

편집 스마트K
업데이트 2024.11.14 00:32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