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북(崔北) <주자 초상(朱子 肖像)> 견본채색 운곡서원
족자 그림은 가로가 세로보다 훨씬 긴 형식의 그림입니다. 고대 중국의 궁중에서는 높은 벽을 장식하기 위해서 벽화를 대신하여 좁고 긴 그림을 높은 곳에 매다는 이런 방식이 유용했을 것입니다.
서화를 표구하여 벽에 걸고 감상을 하기에 좋아 중국 북송시대에 크게 유행하였지요.
달리 괘축(掛軸)이라고도 이르며, 티벳 지역에서 불교 도상을 벽에 건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서화를 표구하여 벽에 걸고 감상을 하기에 좋아 중국 북송시대에 크게 유행하였지요.
달리 괘축(掛軸)이라고도 이르며, 티벳 지역에서 불교 도상을 벽에 건 것이 시초라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청대 후반이 되면 극단적으로 좁은 종이에 그림을 그리는 것이 유행하여 조선에서도 19세기 후반 이후에 장승업을 중심으로 많이 제작되었습니다.
족자의 아래부분에는 환봉이라고 하는 '족자축'을 댑니다. 두루마리하여 보관할 때 천이 이 축을 중심으로 말려지게 되고, 족자가 걸려질 때는 아래쪽에 무게를 주어 균형있게 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합니다. 족자축은 나무를 둥근 기둥모양으로 깎아서 사용하지요. 윗부분에는 둥근 나무 기둥을 반으로 갈라 붙이는데 아래쪽의 족자축이 둥근 모양인 것에 대하여 이 윗부분의 나무는 '반달'축이라고 부릅니다. 아래는 '보름달'축.
국보 제1493호 <오재순 초상> 151.7x89cm (전체 208.5x99.8cm) 삼성미술관리움
현재 족자 형태의 표구 방식은 사실 조선시대에 사용되던 전통 방식이 아닙니다.
전통 방식은 안타깝게도 계승되지 않았고 일제시대를 통해 정착된 일본식 표구방식이 현재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
전통 방식은 안타깝게도 계승되지 않았고 일제시대를 통해 정착된 일본식 표구방식이 현재 흔히 쓰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