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회화
  • 도자
  • 서예
  • 오늘의 그림 감상
  • art quiz exercise
타이틀
  • 초서간찰읽기 8. 역량을 펴신다면 남쪽 백성들에게는 경사가 아니겠습니까?
  • 3856      
1850년(철종1) 2월 26일 홍문관교리 허전이 경주부윤 이원조에게 보낸 답장 서간



<전문 해석>

 ①問訊相阻 亦已有年 悵耿無

比 矧玆春晩 懷仰尤勞 獲

下狀 ②謹審

令政體動靜 連護萬衛 

深慰遠祝之私 ③第雄府

劇務必多擾惱 而以吾

兄抱蘊 展以爲措處之

道 則豈非南民之福耶 

④弟近以館職 苦閑隙而

素乏學識 無以仰裨

聖上求道之意 悚懍而已 


⑤惠饋三種 物珍而情

厚 拜謝僕僕 餘客撓 

不備謝候禮 


庚戌二月二十六日  弟 許傳 拜 

①문안(問安)이 서로 막힌 것도 벌써 몇 년이 되어 서운하고 그리운 마음 비길 데가 없습니다. 하물며 이 늦봄에 그리운 마음 더욱 수고롭더니 보내 주신 서찰을 받고

②영감의 정사(政事)를 돌보시는 동정(動靜)이 줄곧 좋으심을 알았으니, 멀리서 축하하던 마음에 깊이 위안이 되었습니다. 


③다만 웅부(雄府:慶州를 가리킴)의 분주(奔走)한 사무(事務)로 아주 시끄럽고 골치 아픈 일이 많겠지만, 형의 포부(抱負)와 온축(蘊蓄)한 역량(力量)을 펴서 조처(措處)할 방도(方道)로 삼는다면 어찌 남쪽 백성들의 복이 아니겠습니까?


④아우는 근래 홍문관(弘文館)의 직책(職責)으로 한가(閑暇)한 겨를도 없고, 평소 학식(學識)이 부족하여 성상(聖上)께서 도를 구하는 뜻을 돕지 못하고 있으니 몹시 두려울 뿐입니다. 

⑤은혜롭게 보내 주신 3가지 물품(物品)은 진귀할 뿐만 아니라 정이 듬뿍 담겨 있어서, 절하고 받으니 매우 감사합니다. 

나머지는 손님이 와서 시끄러워 답장의 예를 갖추지 못합니다. 

경술년(1850, 철종1) 2월 26일  제(弟) 허전(許傳) 올림 




<풀이>
1850년(철종1) 2월 26일 당시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경연시독관(經筵侍讀官)·춘추관 기사관(春秋館記事官)으로 재직 중이던 허전(許傳, 1797~1886)이 경주 부윤(慶州府尹)으로 재직 중이던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 1792∼1872)에게 보낸 답장 서간(書簡)이다. 
통상적인 안부에 이어 경주의 분주한 사무로 아주 시끄럽고 골치 아픈 일이 많을 것이나 형의 포부와 온축한 역량을 펴서 조처할 방도로 삼는다면 남쪽 백성들에게 복이 될 것이라며, 은근히 선정(善政)하도록 격려하였다. 
자신은 홍문관(弘文館)의 직책으로 한가한 겨를도 없고, 평소 학식(學識)이 부족하여 성상(聖上)의 도를 구하는 뜻을 돕지 못하고 있으니 몹시 두려울 뿐이라고 하면서, 상대가 보내준 물품(物品)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하였다.


<용어 및 지명>

문신(問訊) : 소식, 선종에서, 합장하고 머리를 숙여 인사하는 법.

웅부(雄府) : 웅장(雄壯)하게 큰 고을, 여기서는 경주(慶州)를 가리킨다.

극무(劇務) : 극심(極甚)하게 분주한 사무(事務).

관직(館職) : 홍문관(弘文館)의 부제학(副提學) 이하(以下)의 관직(官職). 성균관(成均館)의 대사성(大司成) 이하(以下)의 관직(官職).

복복(僕僕) : 매우 감사함



글/사진 무불거사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3 02:33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