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회화
  • 도자
  • 서예
  • 오늘의 그림 감상
  • art quiz exercise
타이틀
  • 산수화의 원근법, 삼원법(三遠法)은 각각 무엇일까요?
  • 2405      
동양의 산수화를 그릴 때 공간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정선 <하경산수도> 비단에 수묵, 179.7x97.3cm, 국립중앙박물관


높은 산의 웅장함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올려다보듯이 그리고, 들판 너머에 있는 산은 정면으로 그려 광활한 공간을 나타내고,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듯이 그려서 깊이를 나타내는 방법 세 가지인데, 중국 북송의 곽희가 맨 처음 주장했던 것으로 삼원법三遠法이라고 불렀습니다. 

삼원법의 세 가지는 각각 무엇일까요?










--------

그림은 넓이만 있고 깊이는 없는 2차원의 면 위에 눈으로 알아볼 수 있는 표시를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추상화가 아니라면 그림은 현실에서 눈으로 보는 것과 유사하게 대상과 공간의 관계를 드러내어 보는 이에게 어떤 심상을 주고자 하는 것이죠. 

서양에서는 현실을 더 잘 재현하기 위해 투시도법을 찾아내고 실재와 구분하기 어려울 때까지 이를 정교하게 밀어붙였습니다. 동양의 화가들은 그림에 대한 조금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어 정교한 투시에 몰두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평면에 공간을 구현하는 방법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삼원법과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삼원법은 다음과 같은 그림 속 세 가지 시각을 말합니다. 
고원高遠 : 높은 산의 웅장함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올려다보듯이 그리기
평원平遠 : 들판 너머에 있는 산은 정면으로 그려 광활한 공간을 나타내기
심원深遠 : 높은 곳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듯이 그려서 깊이를 나타내기

정답은 고원, 평원, 심원. 

위의 산수화는 겸재 정선(鄭敾, 1676-1759)이 중년의 나이에 그린 것으로 전통 화풍을 기본으로 그의 개성이 조금씩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삼원법이 드라마틱하게 드러나지는 않으나 앞쪽에 숲으로 둘러싸인 누각과 바위, 흐르는 시내가 깊숙이 자리하는 것은 심원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산과 위로 솟은 봉우리들은 고원으로 묘사하고, 멀리 뒤쪽으로는 들녘과 낮은 산들이 펼쳐져 있는 것을 평원으로 나타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조선 후기의 산수화들을 보면 한 화면 안에 고원과 평원과 심원을 다 넣은 것보다는 이 방법들을 조금씩 적용한 그림이 더 많습니다. 

이 외에도 전통 회화에서는 긴 두루마리 그림 같은 곳에서 쉽게 발견되는 이동 시점의 방법을 쓰기도 했는데, 고정된 시점에서 대상과 환경을 보고자 하지 않고(이에 연연하지 않고) 자유롭게 시점을 이동하면서 대상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산점투시법 같은 말로 설명합니다.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5.04.04 19:58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