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이 등장하는 그림(인물화)중에는 재미있는 옛 이야기가 들어 있는 그림이 있습니다. 바로 고사인물화(故事人物畵)가 그러한데, 일반 초상화와 달리 옛 고사의 일화나 행적을 묘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기에 그 의미를 알면 그림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요.
정선 <왕희지관아도>
이 그림도 고사의 일화를 그린 그림인데, 공통적으로 고사(高士)와 거위가 등장합니다. 이렇게 고사가 거위를 사랑스럽게 내려다보는 그림은 대개 <왕희지관아도>입니다.
즉,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이 사람은 동진의 서예가 왕희지(王羲之, 307-365)이고, 그의 일화를 표현한 고사인물화입니다.
중국 고금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왕희지는 평소 거위를 사랑하였는데, 길고 유연하며 변화무상한 거위 목을 보면서 서체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도 전해집니다.
중국 고금의 첫째가는 서성(書聖)으로 일컬어지는 왕희지는 평소 거위를 사랑하였는데, 길고 유연하며 변화무상한 거위 목을 보면서 서체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도 전해집니다.
이야기는 이렇습니다. 어느 날 왕희지는 산음(山陰)의 도사(道士)가 기르는 거위를 보고 반하여 팔 것을 청하였고 도사는 황정경(黃庭經)을 써주면 거위를 주겠다고 제의를 합니다.
이에 왕희지는 반나절동안 황정경을 써줬고 답례로 흰 거위를 받아 들고 돌아왔다고 전해지는데, 『진서(晉書)』 권80 「왕희지전」 과 장언원의 『법서요록(法書要錄)』, 『선화서보(宣和書譜)』등에서 이 고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왕희지는 반나절동안 황정경을 써줬고 답례로 흰 거위를 받아 들고 돌아왔다고 전해지는데, 『진서(晉書)』 권80 「왕희지전」 과 장언원의 『법서요록(法書要錄)』, 『선화서보(宣和書譜)』등에서 이 고사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왕희지가 산음의 도사에게 써 준 황정경은 도교 양생(養生)술을 전하는 대표적인 책으로 일명 ‘환아첩(煥鵝帖)’이라고도 합니다.
전선 <왕희지관아도>. 아래는 고사와 거위 부분 확대.
중국 송말원초의 화가 전선이 그린 <왕희지관아도>를 비롯하여 정선, 장승업의 작품에서는 황정경을 필사 해주고 받아온 거위를 바라보는 왕희지의 모습을 표현한 것입니다.
장승업 작품(선문대소장)의 제발을 통해서도 그림의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장승업 작품(선문대소장)의 제발을 통해서도 그림의 내용을 알 수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장승업 <관아도> 선문대
“두 마리 거위가 목을 빼며 다가오니 가슴 속의 묘한 생각 저절로 어우러지네
아득히 천년 후에 벗을 숭상하니, 이 뜻을 아는 이는 다만 황정경 뿐이라네”
(照眼雙鶂引頸來, 胸中妙思與之偕. 寥寥尙友千年後, 秖有涪翁識比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