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회화
  • 도자
  • 서예
  • 오늘의 그림 감상
  • art quiz exercise
타이틀
  • 조선의 선비, 눈 쌓인 어느 날 벗을 찾아가다 - 이인문 <설중방우>
  • 807      

이인문 <설중방우雪中訪友> 《고송유수첩》 종이에 수묵담채, 38.1×59.1㎝. 국립중앙박물관(덕수 4501)


나무와 지붕에 눈이 소복히 쌓인 한겨울 산 속의 작은 집, 창문 안으로 두 선비가 마주 앉은 모습이 보이고, 한 선비가 타고 온 교통수단인 듯 소를 붙잡고 밖에 서 있는 아이와 그 아이에게 주차 안내하듯 안쪽을 손짓하는 다른 아이가 있다. ‘설중방우’라 부르는 이 그림은 조선 후기 화가 고송유수관 이인문(1745~1824이후)이 겨울 산수와 함께 쌓인 눈을 헤치고 친구를 방문한 사람과 그 이야기를 그린 그림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송유수첩』 안에 포함되어 있다.

화가 이인문이 자신의 주변 사람들과 모였던 사실을 기록한 유명한 <누각아집도>와는 달리 ‘설중방우’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감상하게 되는 고사인물화이다. 예전에 있었던 잘 알려진 이야기, 고사故事를 그린 것이니 당시 사람들은 ‘응, 눈 왔을 때 친구 찾아갔던 그 얘기 장면이구먼.’하고 받아들였을 것이다. 

2002년 국립중앙박물관의 《조선시대 풍속화》 전시에 소개되면서 박물관이 펴낸 도록에는 이 <설중방우도>가 송나라 태조 조광윤이 그의 신하 조보의 집을 방문하여 국사를 논하였다는 고사를 차용하여 그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송의 태조가 신하의 집을 방문하기 훨씬(몇 백 년) 전, 더 여운을 주는 ‘설중방우’ 레퍼런스가 전해져왔었다. 송나라 무제 때 편찬된 『세설신어』에 등장하는 1400여 개의 고사 중에 들어 있는 '설중방우'에서는 눈길을 뚫고 간절한 마음으로 친구를 만나러 갔다가 만나지 않고 도로 돌아온다. 

왕희지의 다섯째 아들이자 아버지 못지않은 유명 서예가였던 왕휘지(王徽之, 336~386)가 그 주인공이다. 그는 어느날 자다 깨어 눈이 펑펑 쏟아져 내리고 있는 것을 알아챘다. 술상을 내어오게 해 술을 마시며 시를 읊으면서 달빛에 비치는 눈 풍경을 감상했다. 눈과 시와 술에 취해서였을지, 강 건너 사는 벗 대규(戴逵, 326~396)가 갑자기 그리워진 그는 사람을 불러 배를 섭외하고 밤새 눈오는 강을 거슬러 올라갔다. 아침나절이 다 되어 친구네 집 가까이 도달했을 때, 그는 이제 됐다고, 집으로 돌아가자고 사공에게 말한다. 사람들이 왜 그랬는지를 묻자 왕휘지는 다음처럼 대답했다. 

吾本乘興而來  내가 원래 흥이 일어나서 간 것이고
興盡而返  흥이 다하여 되돌아온 것이니
何必見戴  어찌 반드시 친구를 만나야 하겠는가

밤새 배 위에서 눈을 맞으면서 친구를 생각한 것으로 충분했다니 너무 자기중심적인 우정이 아닌가도 싶은데, 해 뜨고 눈 그친 아침에 친구를 만나 그 그리웠던 마음과 밤의 눈을 함께 감상하고 싶었던 마음을 공유하지 못하느니 그냥 돌아오는 게 나을 것이라는 판단이었다면 그 또한 이해가 된다. 

이 설중방우가 조선 선비들의 취향에 더 맞았을 것 같은데, 반복해서 그려지다 보니 원래의 의미 보다는 ‘설중방우’ 키워드만 살아남은 것인지 아니면 조광윤이 신하를 만나러 간 이야기와 섞인 것인지 이인문의 그림에서 손님은 돌아가지 않고 당당히 친구의 집 안으로 들어가 만남을 성사시키고 있다. 



이인문이 방했던 원본 조영석(1686-1761)의 <설중방우도>에는 또 하나의 특징이 있는데, 방문객 선비의 옷차림이 조선식이라는 것이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중국의 고사를 그린 그림에 한복을 입은 선비들을 등장시키는 일이 종종 있지만, 이 시기에 귀를 엎은 방한용 차림의 갓 쓴 조선 선비를 설중방우 고사 속에 넣을 수 있었던 것은 조영석이니까 가능했던 것 아닐까. 조영석이 어떤 원본을 참고하여 설중방우를 그렸을지 모르겠지만 옷차림 등의 표현을 통해서 본인의 심상을 강하게 개입시킨 그림일 것이다. 


조영석 <설중방우도> 종이에 담채, 115×57㎝, 개인


눈을 맞으며 지인을 찾아간 고사를 하나 더 찾아보자면 ‘정문입설(程門立雪)’이라는 것이 있다. ‘정씨 집 문 앞에 서서 눈을 맞는다’는 것으로 중국 송나라 때 양시와 유초가 돌아가신 스승 정호(程顥)의 집을 찾아가 그 동생 정이를 스승으로 맞고자 했는데 명상에 잠겨있던 정이를 기다리느라 눈이 한 자나 쌓이는데도 문 앞에서 기다렸다는 것이다. 


정선 <정문입설> 종이에 담채 18.5×14.1cm,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시대 고사인물도는 금궤도처럼 우리나라 이야기를 그린 것도 있지만 서원아집, 미불배석, 삼고초려, 적벽, 왕희지환아, 파교심매, 어초문답, 귀거래사 등 당시 널리 알려졌던 중국의 인물과 그 이야기가 압도적으로 많다. 시대에 따라 인물 표현이나 구성이 조금씩 달랐겠지만 중국에서 건너 온 화보가 그림의 원본으로 절대적 위치에 있었던 것도 인정해야 한다. 중국의 소수민족 한복 운운하는 요즘, 더욱더 조선의 독자적 문화를 세우고자 하는 자긍심이 부족했던 선조들에 대해 아쉬움이 생긴다.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0.31 05:17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