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측메뉴타이틀
  • 회화
  • 도자
  • 서예
  • 오늘의 그림 감상
  • art quiz exercise
타이틀
  • 근대의 고민을 짊어진, 이마동의 <남자>(1931)
  • 2569      

청구靑駒 이마동李馬銅(1906-1981) <남자>(1931) 유화 115x87cm, 국립현대미술관

헤어스타일이며 의상이 지금 사람들 못지않게 세련되었습니다. 지적 분위기를 뿜어내는 훈남의 젊은 청년이 화면을 가득 채워 무대 위 같은 극적 분위기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남자의 시선이 가 있는 공간, 엄격한 색채와 자세, 과감한 구도와 대비 효과 등으로 정적인 속에 역동성을 담은 그림이 되었습니다. (<사나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순우리말과 한자말의 차이일 뿐이지만 ‘사나이’보다는 ‘남자’라는 제목이 덜 마초적이고 세심해 보이는 개인적 느낌으로 ‘남자’가 제목으로 어울려보입니다.) 


이 그림을 그린 이마동은 휘문학교에서 고희동 이한복에게 지도받은 후 프랑스에서 유학하고 온 이종우의 아틀리에에 다니기도 하고 도쿄미술학교 출신 야마다 신이치(山田新一)가 경성에 세운 조선미술원에서도 수학했습니다. 1927-1932년 일본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에 유학 가서 공부했습니다. 특별전형이거나 다른 과가 아니라 서양화 본과에 입학한 한국인은 그가 처음이었다고 합니다.
당시 도쿄미술학교의 분위기 등을 생각해 볼 때 1931년에 그려진 이 그림의 제재나 형식에서 19세기 유럽 회화(특히 사실주의) 느낌을 받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게 여겨집니다. 이경성 선생님은 이 시기 이마동의 그림은 도쿄미술학교 재학시절에 지도교수였던 후지시마 다케지(藤島武二)의 영향이 컸다고 이야기합니다. 

이마동은 졸업하고 귀국한 직후 1932년 1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이 그림을 출품하여 특선을 받았고, 13회에도 출품하였지만 이후 선전에 반대하는 목일회에 가담하면서 선전 대신 서화협회전람회에 참여하게 됩니다. 이 그림은 당시 이왕가에서 구입하여 창덕궁 창고에서 거의 40년간 잠자고 있었습니다. 이후 세상에 공개된 것은 1972년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 근대미술 60년> 전시에서였습니다. 국립현대미술관이 지금의 국립민속박물관 자리에 있을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그려진 모델은 누구일까요. 함께 수학했던 젊은 화가들 중 한 사람일까요. 아니면 본인의 모습이 투영된 실재하지 않는 인물일까요.
근대의 고민을 짊어진 젊은이의 모습에서 약간의 지적 허영이 느껴진다면 제가 비뚤어진 탓일까요?
  
SmartK C. 관리자
업데이트 2024.11.19 08:52

  

SNS 댓글

최근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