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한국 회화의 대외교류
1. 머리말
2. 삼국시대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3) 조선 후기
4) 조선 말기
ⅠⅠ . 고구려 벽화와 중국 육조시대 벽화의 비교 연구
1. 머리말
2. 비교 대상의 벽화고분
3. 고분의 구조와 벽화 배치형식의 비교
1) 구조
2) 벽화의 배치형식
4. 벽화의 주제 비교
5. 맺음말
ⅠⅠⅠ . 고구려 고분벽화와 중국의 고분벽화
1. 한국과 중국의 고분벽화 개관
2. 한.중 벽화고분의 건축구조
3. 한.중 고분벽화의 주제 비교
1) 묘주도
2) 관리.시인도
3) 행렬도
4) 수렵도
5) 대련도
6) 무인.역사
7) 연회도
8) 신괴도
9) 사신도
4. 한.중 고분벽화의 독자적 측면
ⅠⅤ . 중국 분묘 벽화에 보이는 묘주도의 변천
1. 머리말
2. 한대의 묘주도: 신격화된 묘주
3. 육조시대의 묘주도: 인간으로서의 묘주
4. 송대-명대의 묘주도: 세속 일상 속의 묘주
5. 맺음말
Ⅴ. 고려 및 조선 초기 고분벽화와 중국 벽화와의 관련성 연구
1. 머리말
2. 고려 및 조선 초기 고분벽화의 현황과 주제
3. 십이지상의 표현
4. 송, 죽, 매의 표현
5. 생활풍속도
1) 공양행렬도
2) 출행도(말과 마부도)
6. 맺음말
ⅤⅠ . 조선 전반기 회화의 대중 교섭
1. 머리말
2. 사행을 통한 인적 교류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3. 화적을 통해 본 회화 교섭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4. 중국 화풍의 유입
1) 조선 초기
2) 조선 중기
5. 맺음말
ⅤⅠⅠ . 17.18세기 동아시아 실경산수화의 성행과 그 의미
1. 머리말
2. 실경산수화 성행의 몇 가지 요인
3. 특정 지역과 화풍의 편향성
4. 한.중.일 삼국의 표현상 차이
5. 맺음말
ⅤⅠⅠⅠ . 강세황의 중국과 서양 화법 수용 양상
1. 머리말
2. 중국 화보 화풍의 수용
3. 방작의 수용 양상
4. 안휘파 화풍의 수용
5. 서양 화법의 수용과 변용
6. 맺음말
ⅠⅩ . 한.중.일 삼국의 방고회화 비교론
1. 머리말
2. 중국의 방작
3. 한국의 방작
4. 일본의 방작
5. 삼국의 방작 비교론
6. 맺음말
Ⅹ. 18.19세기 정통파 화풍을 통해 본 동아시아의 회화 교류
1. 머리말
2. 중국 정통파 화풍의 전개
3. 정통파 화풍의 한국 유입
4. 정통파 화풍의 일본 유입
5. 맺음말
ⅩⅠ . 조선 말기 중국화의 유입 양상 - 호림박물관 소장 「백납 6곡병」 한 쌍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19세기 중국화의 유입 양상
3. 호림박물관 소장의 「백납 6곡병」 한 쌍
1) 병풍의 화면 구성
2) 화목별 표현 양태
(1) 산수화
(2) 화조.화훼초충 및 사군자와 괴석
3) 제작 시기 및 제작자 문제
4. 「백납 6곡병」 한 쌍과 관련된 조선 말기의 회화
1) 산수화
2) 화조.화훼초충.어해 및 사군자와 괴석
5. 맺음말
ⅩⅠⅠ . 회화와 도자를 통해 본 근세 동아시아의 미술과 생활
1. 머리말
2. 생활 속의 회화
3. 생활 속의 도자기
4. 회화로 장식된 도자기의 활용
5. 맺음말
ⅩⅠⅠⅠ . International Exchanges of Korean Painting
1. Three Kingdoms Period
2. Goryeo Period
3. Joseon Period
1) Early Joseon
2) Mid Joseon
3) Late Joseon
4) The final period of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