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
- 이정미
- 페이지
- 188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
- 설명
- Ⅰ. 「선화화보」에 관한 다양한 이해
Ⅱ. 북송시대 회화의 경향과 예술사상
1. 회화의 경향과 특징
1) 회화의 시대적 흐름
2) 회화의 심미적 특징
2. 화론의 예술적 사상 흐름
1) 시대적 사상 동향
2) 사대부의 문예사상
Ⅲ. 휘종의 ‘화학정책(畵學政策)’과 「선화화보」의 편찬 의의
1. 휘종의 ‘화학정책’과 그 특징
1) 휘종의 ‘화학’ 설립 배경과 계몽정책
2) ‘화학’과 ‘한림도화원(翰林圖畵院)’의 관계
2. 「선화화보」의 편찬 배경과 의의
1) ‘선화전어제(宣和殿御製)’의 의미
2) 「선화화보」 편찬자들과 휘종과의 관계
Ⅳ. 「선화화보」의 사상과 화과(畵科) 분류
1. 「선화화보」의 10문에 담긴 사상
1) 「선화화보」의 사상적 합일점
2) 「선화화보」의 분류체제
2. 도교심미관에 따른 회화예술관
1)도석(道釋): 이득유(李得柔)의 ‘숭도(崇道)’
2)산수(山水): 이성(李成)의 ‘고금제일(古今第一)’
3)화조(花鳥): 서희(徐熙)의 ‘우의(寓意)’
4)묵죽(墨竹): 문동(文同)의 ‘묵죽종사(墨竹宗師)’
Ⅴ. 「선화화보」의 예술사상에 내재된 ‘조화미(調和美)’
1. 「선화화보」에 나타난 예술사상
1) ‘선화체(宣和體)’: ‘원체화’와 ‘문인화’의 융합 추구
2) ‘천도합일(天道合一)’: ‘천인합일’과 ‘심수일체(心手一體)’ 정신
3) ‘신도합일(神道合一)’: ‘형사(形似)’와 ‘신사(神似)’ 정신
4) ‘도즉일(道則一)’: ‘서화일체(書畵一體)’ 정신
2. 「선화화보」의 예술사상에 내재된 ‘조화미(調和美)’
Ⅵ. 결론
SN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