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화 속 초서] 앞 여울로 흘러내려가도 모르겠네 2022.08.15
낚싯대를 꽂아놓고 한 어부가 배 안에서 팔자 좋게 잠들어 있다. 상단에 간단한 화제가 적혀 있다. 세 글자에 네 글자, 총 7글자 어구가 있고, 좀더 작은 글씨로 네 글자를 더했다.(다 알아볼 수 있는 분은 이 코너를 건너 뛰시길.) 앞의 7글자 중에는 행서체에 가까워 알아보기 좋은 것도 있다. 알아보기...
[조선회화사 12] 유복렬의 『한국회화대관』 2017.06.13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미술 애호가이자 컬렉터였던 유복렬(劉復烈)이 1969년(교문원)에 펴낸 편저입니다. 한국회화사에 나오는 주요 작가를 간단한 전기와 작품을 함께 소개한 것이 특징입니다.소개 작가는 삼국시대 12명, 고려시대 50명 그리고 조선시대 512명으로, 각각 화가의 대한 역대자료 소개는 물...
[조선회화사 11] 오세창의 『근역서화징』 2017.05.24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은 한국 최초의 서화 인명사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위창 오세창(葦滄 吳世昌 1864-1953)이 삼국 시대의 솔거(率居)에서 구한말의 임진수까지 서예가(576명), 화가(392명), 서화가(149명) 등 1,117명에 대한 기록을 역대 자료에서 발췌해 1917년에 완성한 책입니다....
[조선회화사 10] 유재건의 《이향견문록》 2017.05.16
《호산외사》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10권 3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규장각에서 일하던 학자인 유재건(劉在建, 1793년(정조17)~1880년(고종17))이라는 사람이 펴낸 것입니다. 유재건의 호는 겸산(兼山)으로 어릴 때부터 주위 사람들로부터 신동 소리를...
[조선회화사 9] 조희룡의 《호산외사》 2017.04.26
『호산외사壺山外史』는 매화 그림으로 유명한 조선 후기~말기의 여항문인이자 서화가 우봉 조희룡(又峰 趙熙龍 1789(정조13)-1866년(고종3))이 쓴 책입니다. 호산은 그의 호이기도 합니다. 이 책은 41장 정도 되는 인물 전기집으로, 중인·화가·승려·몰락양반 가운데 특이한 행적을 남긴 마흔 두 명에 ...
[조선회화사 8] 이규상의 《병세재언록》 2017.04.18
『병세재언록幷世才彦錄』의 저자 이규상(李奎象 1727-1799)은 영조 초년에 태어나 정조 말년까지 생존했던 인물입니다. 우리 역사상 가장 찬란하게 빛났던 영, 정조시대를 살다 간 사람으로써 동시대의 빼어난 인물들에 대한 기록을 남긴 것이 이 『병세재언록』입니다. 병세幷世란 ‘동시대’를 의미하고 재언록才...
[조선회화사 7] 김광국의 《석농화원》 2017.04.05
《석농화원石農畵苑》은 조선 정조 시대 서화 수장가인 석농 김광국(金光國, 1727∼1797, 호 석농石農)이 일생 동안 수집한 그림들을 모아 여러 권으로 꾸민 전설적인 화첩입니다. 대대로 의관을 지낸 중인 출신으로 많은 서화를 모았는데, 서화에 대한 높은 식견을 가지고 있어 소장한 그림에 화제를 쓰기도 ...
[조선회화사 6] 삼원삼재(三園三齋) 2017.03.29
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 중 '원園'자와 '재齋'자가 들어가는 사람이 세 사람 씩이었던 것에서 이들을 묶어 '삼원삼재(三園三齋)'라고 부릅니다. 호에 원(園)자가 들어간 '삼원'은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1745-1806이후), 혜원 신윤복(蕙園 申潤福, 약1758-1813이후), 오원 장승업(吾園...
[조선회화사 5] 오원화파 2017.03.14
'오원(吾園)'은 조선 말기의 천재화가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의 호입니다. 장승업, <고사세동도> 19세기 후반, 종이에 연한 색, 151.2x31cm 삼성리움미술관 오원화파라고 하면 주로 장승업에게서 배움을 얻은 구한말의 화가 소림 조석진(小琳 趙錫晉 1853-1920)과 심전 안...
[조선회화사 4] 추사화파 2017.02.14
추사 김정희의 가르침을 받은 제자들과 주변 문인 가운데 추사의 예술적 사상에 공감하며 일격(逸格)의 문인화를 그린 화가들을 '추사화파'로 일컬을 수 있습니다. 추사의 직접 지도를 받은 화가는 김수철(약1820-약1888), 허유(1809-1892), 이한철(1808-?), 박인석(미상), 전기(1825-...
[조선회화사 3] 단원화파 2017.02.06
단원 화파18세기후반 이후 높은 인기를 끌었던 단원 김홍도의 화풍을 추종한 화가들이 있습니다. 직접적인 사제 관계에서 비롯된 화풍 계승과는 관계가 없고, 그보다는 사회적 수요에 응해 단원풍을 모방한 것에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원과 가까웠던 화가들은 물론 후배 화원화가들도 단원 화풍을 많이 모방했습...
[조선회화사 2] 겸재화파 2017.01.31
조선 전기와 중기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작품이 많이 남아 있는 조선 후기의 그림들에 대해 먼저 이야기하도록 해 보겠습니다.조선시대에 특징적인 화풍을 이어간 그룹들이 몇 있는데, 그 중 하나가 후기의 "겸재화파"입니다. 사승 관계에 따른 화파라기 보다 겸재 정선(1676-1759)의 화풍을 계승한 화가라고...
[조선회화사 1] 시대별 대표화가 2017.01.23
안휘준 교수는 조선시대 회화사를 아래와 같이 전기, 중기, 후기, 말기로 시대를 구분했는데, 그 이래로 일반적으로 그 기준이 통용되고 있습니다.각 시기별 대표적인 화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시 대 연 대 대표 화가 전 기 1392-1550 안견, 이암(1499), 강희안(1419-1464) ...
[화론 15] 개자원화전 2016.12.20
개자원화전(芥子園畵傳)청대에 간행된 컬러 화보집인 '개자원화전'은 17세기말의 문인 이어(李漁)의 뜻에 따라 그의 사위 심인백이 펴낸 책입니다. 남경에 있던 이어의 별장인 '개자원'에서 제목을 따왔습니다. 개자원화전이 더 많이 알려진 제목이지만 이어의 자를 따서 『입옹화전(笠翁畵傳)』이라고도 부릅니다.개...
[화론 14] 십죽재화보 2016.12.07
십죽재화보(十竹齋畵譜)명나라 말기인 1644년, 호정언(胡正言, 1583-1674)이라는 사람이 편찬한 화보집 4권을 말합니다. 십죽재는 그의 서재명입니다. 제1권 서화보(書畵譜)에는 대나무, 작약, 매조, 백련, 해당, 앵두, 파초, 괴석, 구기, 우엉, 석류, 수국 등의 그림이 들어 있습니다. 제2권...